요즘 무슨 고민 있으세요?
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심리 치유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공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과 공유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는 것이다. '천개의 공감'이란 단어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 자신의 문제를 털어놓는 상담자에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게 우선이다. 불합리해 보이는 생각과 행동들은 다 있을 수 있는 일이라 말해주는 '공감'이 이 책이 갖는 '치유'적 힘이다. 

왜 정신분석의가 아닌 작가에게 상담을 할까. 상처받은 사람들이 원하는 건 난해한 이론으로 무장한 '분석'이 아니라 '공감'과 '인정'이다. 물론 김형경 작가가 개인적으로 심리치료를 받고, 또 많은 공부를 했기에 중간중간 정신분석적 용어들 - 주로 프로이트 이론 - 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상담에 대한 답변은 대개 따뜻하고 정감있는 문장들로 채워져 있다. 작가는 분명 정신분석학에 대해 아웃사이더지만 주변부는 - 중심에서는 가질 수 없는 - 도발적 시선으로 접근할 수 있어 때로는 더 창의적이다. 가끔은 아웃사이더들이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집어내듯이. 순수하게 정신분석적 측면에선 이 책이 형편없을 수도 있지만 실제 고통받는 사람들에겐 작가의 감수성으로 빚어낸 공감의 말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강압적이지 않게 넌지시 제시하는 치유의 길 역시.

작가는, 정신분석은 '사랑 앞에서 좌절하는 사람들을 위한 학문'이라고 말한다. 남녀의 사랑이든, 부모의 사랑이든, 친구와의 사랑이든 인간이 맺는 관계는 기본적으로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마음을 전해가는 '사랑'과정이다. 그러나 모든 사랑은 자신을 위한 행동이기에 무엇보다 자신에 대한 신뢰와 사랑이 바탕이다. 책에 실린 수많은 사례들과 답변을 아우를 수 있는 한가지는 "자기자신을 믿어주고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것'이다.  얼룩덜룩하고 울퉁불퉁한 불완전한 내면까지도 그대로 인정해주는것. 과도한 나르시시즘이 아닌 건강한 자기애를 가져야 비로소 다른사람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다. 상대방의 결점까지도.

책을 읽다보면 작가의 답변에 동의할 수 없는 사례들도 많지만 나는 김작가의 글을 - 그녀가 삶을 사랑하는 방식들을 - 사랑한다. 지나치게 프로이트 이론에 끼워맞추려 한다며 그녀의 글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어차피 정신분석 이론 공부하려고 작가의 치유에세이를 읽는것은 아니니까. 동의할 수 없는 답변들마저도 두세번 읽다보면 삶에대한 작가의 애정이 묻어나와 스스로에게 무심했던 나 자신을 되돌아보게 된다. 늘 상처받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건 내 감정에 귀기울이고 인정해주는 자신과의 공감이다.

"커피 한 잔을 마시면서도 내 인생의 작은 전기들이 내 앞에 펼쳐지고 있다."                                      (알랭 드 보통,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말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