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푸른 상흔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권지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생각지도 못한 반전까지 더해져 놀라움을 선사해 주었던 책. 짧지만 임팩트가 강하게 다가왔고 저자 특유의 문체에 빠져들어 책을 펼친 자리에서 다 읽은 책이다.

자전적 요소가 가득했던 '마음의 푸른 상흔'은 에세이와 소설 두 가지 영역이 아주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번갈아가면서 진행이 된다. 그러다 맨 마지막은 전혀 다른 듯했던 두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이야기로 합쳐지며 끝이 난다. 그렇게 프랑수아즈 사강이 반 밀렘 남매를 그리고 자기 자신을 정면으로 바라본 시간 그리고 독자가 저자를 알게 된 시간이었다.

사강 저자의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다른 책을 읽고 싶게 만다는 마술이 탑재되어 있는 듯하다. 같은 주제도 다르게 표현되는 그녀만의 문체가 참 좋다.  다음엔 어떤 책을 통해 또 저자를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미소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최정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함과 죄책감 사이에서 중압감을 느끼던 도미니크의 심리 상태가 프랑수아즈 사강 저자만의 문체로 생생하게 그려진다.

사랑에는 여러 종류의 사랑이 있다지만, 그녀가 한 사랑은 어쩌면 처음부터 끝을 알고 시작된 사랑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그 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

뤽과의 만남 속에서 진정으로 사랑을 나눈 건 맞나 의아할 정도로 애틋함이 느껴지지 않는 사랑이었다. 오히려 그녀가 느끼는 행복보다 불안감과 죄책감의 비중이 더 와닿았던 이야기였고, 그래서 프랑수아즈의 반응이 그녀만큼이나 무섭고 걱정이 되기도 했던 이야기였다.

과연 그녀가 마지막 지었던 미소는 어떤 미소였을까? 자신을 사랑하지 않았던 그녀가 드디어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을까?

내가 혼자 하는 것. 나는 나 자신에게 그 말을 해주고 싶었다. 혼자, 혼자라고. 그러나 결국 그게 어떻단 말인가? 나는 한 남자를 사랑했던 여자이다. 그것은 단순한 이야기였다. 얼굴을 찌푸릴 이유가 없는 것이다. p.200


정말 이 이야기가 단순한 이야기였을까?! 생각하고 생각하게 만든다. 가벼운 거 같으면서도 결코 가볍지 않았던 '어떤 미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미소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최정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은 표시가 없는, 평평한 사물이다. 아마도 나 같은 사람들에게 행복은 일종의 부재일 뿐인 지도 모른다. 권태의 부재, 신뢰의 부재. 126

여름휴가를 같이 보내게 된 도미니크와 뤽. 남자친구가 알게 돼도 상관없다는 심정으로 떠난 밀월여행. 이미 끝을 내다보고 있는 산전수전 다 겪은 남자 뤽과 보내는 하루하루가 도미니크에게 정말 행복함으로, 사랑으로 다가왔을까?

진정으로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모르는 모습을 보일 때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그녀를 애정 어리게 본 프랑수아즈가 이 둘의 관계를 알게 되게 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도 되었다. 이상하게도 이 둘의 사랑에서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었다. 오히려 프랑수아즈가 받을 상처와 그로 인해 괴로워할 도미니크의 이중적인 그 모습이 그려질 뿐.

행복함과 숨 막힘 사이에서 오는 불명확한 중압감으로 흔들리는 도미니크의 모습이 섬세하게 그려지며 이야기의 후반부를 향해 달려나간다. 과연 도미니크는 이 경험으로 어떤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푸른 상흔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권지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내가 섬기는 유일한 우상, 유일한 신은 시간이다. 오직 시간만이 나에게 심오한 기쁨과 고통을 줄 수 있다. p.42

다른 사람에게 빌붙어 사는 반 밀렘 남매의 이야기도 재미가 있지만, 중간중간 프랑수아즈 사강 저자의 이야기도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글을 쓰며 어떤 심정이었고, 팬들이 전하는 말에 어떤 느낌이었는지 그리고 현재 사회에 대한 비판까지 만날 수 있었던 이야기. 그 속에서 남매의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희극처럼 다가왔던 이야기였다.

그런데 반 밀렘 남매를 만나는 사람마다 그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해주고 싶어 하는 걸 보면 참 신기하게 느껴진다. 현실에서도 그런 사람들이 있으니 말이다. 그냥 챙겨주고 싶고, 마음이 가며 미워할 수 없는 사람들에 속하는 건가?! 하지만 이들 또한 시간 앞에서는 자유롭지 못할 것인데, 여유가 있어도 너무 있다. 나만 이들의 노후가 걱정이 되는건가?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푸른 상흔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권지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에 빠지고 싶다. 사랑 때문에 가슴 저리고, 떨리는 목소리로 전화를 하고 싶다. 같은 앨범을 열 번이나 되풀이해서 듣고, 아침에 눈을 떠 익숙했던 자연의 축복을 한껏 들이마시고 싶다. "처음에는 물맛을 빼앗아가더니 이제는 유혹의 맛을 빼앗아 가버렸지." p.10

뭔지 알 것만 같아서, 첫 자신의 마음을 담담히 써 내려간 에세이 형식부터 빠져든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십 년 전 인물들 세바스티앵과 그의 누이 엘레오노르 두 사람의 이야기로 이어지며 소설 속 이야기가 진행된다.

저자의 자전적 이야기가 녹아있어 어느 것 하나 쉽게 넘어갈 수 없다. 불행히도 삶의 쾌락을 꽤 많이 맛보았다는 저자에게 절대적인 것이란 뒷걸음질과 나약함일 수밖에 없다. 그것도 온 힘을 다해 일시적이기를 바란 나약함. 하지만 두 인물에게선 그러한 것들이 보이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살아가지만 어떠한 불안과 나약함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이 이야기의 끝이 어떻게 될지 더 궁금해지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