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원론적 문화에서 살아간다. 그것은 어떤 생각이나 사람들을 스펙트럼의 정반대 양쪽 끝에 나누어 놓고 식별하는 이분법적이고 계층화된 사고방식에 따라 살아가는 삶이다. - P325

우리는 타자를 적으로 보고 오만하게 우리만 ‘옳다‘거나 신은 우리 편이라고 말하면서 우리가 만들어낸 대립과 비판과 판단을 합리화한다.
양극화(polarization)라는 이 방식은, 지금껏 어떤 사람은 부유하고 강한 존재가 될 수 있게 보호하는 반면에 다른 쪽 사람들은 가난하고 무지하고 약한 상태로 두었다. 자기가 경멸하는 세계관이나 종교적 신념을 따르는 사람들보다 자신이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국수주의를 허용해 왔다. - P326

인간의 오만은 우리 모두가 생명의 연속체 속에서 공존하며 ‘우리 모두는 하나‘라는 사실을 보지 못하게 한다. - P325

가부장적 관계에서는 종교적 차원이건, 정치적 차원이건, 개인적 차원이건 오직 한 사람만이 최고의 지위에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항상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있다. 지배적인 인물이 권력을 유지하려면 자신의 파트너를 한 단계 낮은 위치에 둘 필요가 있다. 이것은 한 사람은 지배자의 위치에 있기를 기대하고 다른 사람은 지배받기를 기대하는 특정한 사고방식을 창출한다. 이런 배합의 유형을 구체적 사물로 비유한다면 두 사람의 관계일 때는 시소와 같고 셋 이상의 관계일 때는 피라미드와 같다. - P330

인류 역사에 협력 관계가 중심인 사회들이 존재한 시기가 많았다. 그런 사회에서는 생명을 잉태하고 보살피는 신성성의 양상이 일상적 삶의 한 부분으로 숭배되었고, 종교적이거나 일상적인 일들을 수행하는 데에 성차별이 없었다. 서유럽의 구석기 시대 동굴과 차탈회위크와 하실라르의 무덤뿐만 아니라 크레타의 미노아 문명, 영지주의 기독교, 초기 켈트족, 아메리카 원주민들, 발리섬의 원주민들, 그밖에 많은 곳에서 이런 사회가 존재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 P336

우리는 지금 함께 여행하는 순례자들이다. 모든 생명의 존엄성—보이는 것이건 보이지 않는 것이건—을 존중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여행 중이다. 그 안에 우리의 영웅적 힘이 있다. - P346

낡은 이야기는 끝났다. 영웅적 탐색의 신화는 진화의 나선 위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일시적인 명예에 불과한 직함이나 성취, 갈채, 부의 추구 같은 ‘본질이 아닌 것‘에 대한 탐색은 더는 타당하지 않다. 그 엉뚱한 탐색은 여성의 육체와 정신, 그리고 어머니 대지에 너무 비싼 통행세를 치르게 했다.
오늘날 여성 영웅은 자신을 과거에 묶어놓았던 자아의 굴레를 벗어버리고 자신의 영혼이 추구하는 바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찾기 위한 분별의 칼을 들어야 한다. 어머니를 향한 분노를 놓아버리고 아버지를 비난하거나 우상화하는 것을 그만 두어야한다. 자신의 어둠을 대면할 용기를 찾아야 한다. 그녀의 그림자는 이름 지어주고 껴안아줘야 할 바로 자신의 것이다. 여성은 자신 안의 이 어둡고 그림자 진 공간에 명상, 미술, 시, 연극, 의식, 관계 맺기, 흙을 만지는 일을 함으로써 빛을 비춘다. - P347

오늘날의 여성 영웅에게 주어진 임무는 그녀 자신의 내면에서 은과 금을 캐내는 것이다. 그녀는 자기 내면의 ‘가슴을 가진 남성‘과 긍정적인 관계를 발달시키고 신성한 여성성과 소원해진 자신을 치유하도록 내면의 지혜로운 여성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녀가 정신뿐만 아니라 몸과 영혼도 존중할 때 비로소 자신과 문화의 분리, 그리고 자신 안의 내적 분리가 치유된다. - P3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