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書評, book review)이란, 사전적 의미로만 보면 "책 내용에 대한 평(評)"이다. 여기서 ‘평‘은 ‘비평과 평가‘를 아우르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독후감(讀後感)이라고 하는 독서 감상문이 책을 읽고 난 후 매우 개인적인 느낌을 적은 글이라면, 서평은 책 내용의 비평과 평가에 대한 글쓴이 나름의 판단을 밑받침할 수 있는 논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서평은 해당 도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한 사람만이 쓸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전문적 식견을 갖고 있는 사람, 곧 전문가들이 주로 서평을 쓰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나아가 서평가는 특정 전문 분야에 관한 양서(書)의 기준이나 필자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책의 가치에 대해 독자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서평은 또한 책의 결점을 찾는 작업인 동시에 장점을 찾아 정리하는 일이기도 하다. 책 속에 들어 있는 유익하고 흥미로운 요소들을 드러내어 다양한 해석을 곁들임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관심을 갖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서평의 기능이기 때문이다. - P13

인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구어시대에서 문자시대로, 필사매체에서 인쇄매체로, 그리고 전자매체로의 변화를 겪어 온 과정은 따지고 보면 커뮤니케이션 그 자체의 확장이라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 ‘전달 도구‘의 확장이라고 볼 수있다. 정보제공자가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술 자체로서 이러한 매체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적 확장이란 곧 기술적 측면의 확장이지 의사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의 확장과는 별개의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 P15

출판은 오늘날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화산업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문화상품이나 서비스가 산업 또는 상업 노선에 따라 문화 발전에 대한 관심보다는 경제적 고려에 입각한 전략 아래에서 대규모로 생산되고, 재생산· 축적 · 보급될 때 문화산업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오늘날의 출판 역시 전통적 가치관인 문화성보다는 자본주의적 이윤 획득 방법인 기업적 · 경제적 측면이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현대와 같은 자본주의 경제체제 아래에서는 이념의 생산조차도 매체생산 기능에 있어서 경제학의 고리를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 예컨대, 인쇄술의 등장으로 필사본을 대체하여 도서의 생산이 획기적으로 발달함으로써 문학작품의 보급에 엄청난 공헌을 하게 되었으며, 생음악을 대신하는 음반은 음악의 취향을 자극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곧 문화와 기업의 결합은 오늘날 풍부한 사회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