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도서목록이 있을 경우 제일 먼저 할 일은 ‘그 목록에 있는 책을 모두 훑어보는 것‘이다. ‘모두’ 훑어보기 전에 분석하며 읽어서는 안 된다. 훑어보며 읽는다고 복잡한 주제를 다 알 수 있게 된다든가, 저자가 전해 주는 지혜를 다얻는 것은 아니지만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주제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얻을 수 있어서 목록에 있는 ‘어떤‘책을 분석적으로 읽을 때 도움이 된다. 둘째, 방대한 양의 도서목록을 처리하기쉽게, 적은 양으로 줄여 준다. - P322

분석하며 읽는 것도 능동적으로 읽는 것이지만 독자는 그 책을 주인을 섬기는 듯한관계 속에서 읽는 것이다. 통합적으로 읽을 때는 독자가 바로 주인이 되어야 한다. - P325

간단히 말해, 통합적으로 읽는다는 것은 ‘모든 쪽을 바라보고 어느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완전한 객관성은 불가능하다. 아무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편견 없이 쟁점을 제시하고, 반대 의견을 공정하게 다루는 것은 가능할지 모른다. 하지만 모든 쪽을 바라보는것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보다 더 어렵다. 모든 쪽을 바라보면 통합적으로 읽는 데 실패할지도 모른다. 쟁점의 모든 면들을 빠짐없이 헤아려볼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시도해야 한다. - P332

좋은 책은 열심히 읽으면 그 대가가 있다. 가장 좋은 책이 가장 좋은것을 줄 것이다. 책으로부터 받는 것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어렵고 좋은 책을 붙잡고 씨름한 대가로 책을 읽는 기술을 향상시켜 준다. 둘째,
좋은 책은 이 세상과 독자 자신에 대해 가르쳐 준다. 이것이 훨씬 중요한 대가일 것이다. 인생을 배우는 것, 즉 더 지혜로워진 것이다. - P3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