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용 - 21세기 시선으로 읽는 동양고전
박찬근 지음 / 청년정신 / 2025년 9월
평점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 불안한 일상 속에서 만난 《중용》
요즘 하루하루가 휩쓸리듯 흘러가다 보면, 나라는 중심이 흔들릴 때가 많다.
그러다 우연히 집어든 책이 바로 박찬근 저자의 '중용'.
21세기 시선으로 읽는 동양고전이라는 부제가 괜히 붙은 게 아니다.
고전이라는 단어가 주는 거리감 대신, 이 책은 현대적 사고와 감각으로 번역된 성찰의 언어로 다가왔다.
딱딱한 철학서라기보단, 생활 속에서 숨 쉬는 지혜서에 가깝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가르치는 대신, 어떻게 살아야 나 자신을 지킬 수 있는가를 끝없이 묻는다.
요즘처럼 매일이 소란스럽고 빠르게 흘러가는 시대에, 이 질문은 단순한 옛 말씀이 아니라 지금 여기를 위한 철학으로 변한다.
☕ 낡은 머그컵 같은 따뜻함
책을 펼치자마자 다가온 인상은 묘하게도 오래된 머그컵 같았다.
손잡이가 조금 낡고 색이 바래 있는데도 이상하게 손에 착 감기는 감각.
화려하진 않지만 매일 아침 커피를 담아주는 그 컵처럼, '중용'은 번잡한 삶 속에서 잊고 있던 균형과 중심을 다시 떠올리게 해주었다.
책장을 넘길수록 그 ‘중용’이란 말이 단순히 무난함이나 절충의 미덕이 아니라,
극단의 양끝을 이해한 뒤 스스로의 중심을 세우는 지적 근육의 훈련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조화란 타협이 아니라, 자기 내면의 질서를 단단히 다지는 일.
“진정성은 결국 드러나게 마련이다.”
아무리 꾸며도 본심은 드러나고, 숨겨도 성실한 마음은 반드시 빛을 발한다.
💡 삶 속에서 떠오른 순간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문득 내 일상이 스쳐 갔다.
회사에서 보고서를 꾸미느라 밤을 새운 적이 있다.
그럴수록 겉만 화려하고 안은 텅 비어버리기 일쑤였다.
반대로 서툴고 허술했지만 정성껏 준비한 발표는 언제나 진심이 통했다.
그때 알았다.
중용이 말하는 중심은 타협의 결과가 아니라 진심이 닿은 자리라는 것을.
겉모습보다 내면의 힘, 보여지는 균형보다 살아내는 균형.
이 책은 그 오래된 진리를 조용히, 그러나 단단하게 일깨워준다.
“중용은 단순히 중간을 택하라는 뜻이 아니다.”
그것은 삶의 균형과 진심에서 나오는 힘,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지키는 지혜다.
🥣 된장찌개 같은 고전의 맛
읽는 내내 이 책은 화려한 불꽃놀이가 아니라, 은근히 오래 가는 숯불 같았다.
처음엔 뜨겁지 않은 것 같지만, 곁에 두고 천천히 음미하면 오래도록 따뜻함을 전해주는 그런 힘.
삶 속 사소한 물건이나 음식에 빗대자면, 중용은 매일 꺼내 먹는 된장찌개 같은 책이었다.
소박하지만 깊은 맛, 매일 곁에 두어도 질리지 않는 위안.
그 안에는 격렬한 주장 대신 묵묵한 신념이 있고, 조용한 문장 안에 오래된 지혜가 숨 쉬고 있다.
책장을 덮고 나면, 마음 한구석에 숯불처럼 은근한 온기와 단단함이 남는다.
🌌 책을 덮고 난 뒤
어지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 중용은 마치 주머니 속 작은 조약돌 같다.
가볍지만 늘 손끝에서 묵직한 존재감으로 나를 일깨운다.
책을 덮은 뒤에도 문장들이 오래도록 귓가에 머물렀다.
“지금의 나는 과연 균형 잡힌가?”, “내 진심은 어디에 있는가?” — 그런 질문이 조용히 떠올랐다.
그래서 오늘은 낡은 머그컵에 커피를 따라놓고 천천히 마시며 이렇게 적어본다.
“중용은 결국 나를 지켜내는 가장 따뜻한 습관이다.”
화려하지 않아도 오래 쓰는 물건처럼, 일상의 소박한 습관 속에 스며드는 고전의 힘.
📚 마무리 감상
중용은 거창한 철학이 아니라, 조용히 나를 붙드는 문장들의 집합이었다.
불확실한 시대에 이토록 잔잔하게 마음을 다잡아주는 책이 또 있을까?
이제 내게 중용은 머그컵 속 따뜻한 커피처럼,
매일의 중심을 지켜주는 작고 단단한 온기다.
#중용 #중용리뷰 #동양고전 #고전인문학 #책리뷰 #책추천 #박찬근작가 #인문학책 #고전에서배우다 #균형과조화 #삶의중심 #성실함 #진정성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리뷰의숲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