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어떻게 살면 좋겠냐고 묻는 아들에게 (20만부 기념 특별판)
한창욱 지음 / 정민미디어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따라 자꾸 이게 맞는 삶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퇴근길 지하철에서 폰을 붙잡고 있으면 스크롤 속 남들은 다 열심히 살고 있는 것 같고 나만 뒤처진 기분이 든다. 그런 어느 날, 눈에 띈 책 한 권. 제목부터 묘하게 울림이 있었다.

'인생을 어떻게 살면 좋겠냐고 묻는 아들에게'.


처음엔 뻔한 자기계발서겠거니 했다. 그런데 막상 펼치자, 말투부터 다르다. 누가 시킨 듯 써 내려간 조언이 아니라 진짜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처럼 느껴진다. 거창한 철학 대신 구체적인 말들.

“스마트폰에 주도권을 내주지 마라.”

이 문장에서 갑자기 뜨끔했다. 사실 나는 하루의 절반 이상을 스마트폰과 함께 산다. 눈 뜨자마자 뉴스, 밥 먹으면서 유튜브, 자기 전까지 인스타.

책은 말한다.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주도권을 빼앗긴 것.

그 문장을 읽고 잠시 폰을 내려놨지만 10분도 못 버텼다. 그래도 내가 폰에 끌려다니고 있구나라는 자각만으로도 뭔가 되찾은 기분이었다.


“두괄식으로 말하는 습관을 길러라.”

이 챕터에서는 웃음이 났다. 회의 때마다 그래서 결론이 뭐야?라는 말을 듣는 나로서는 너무 뼈 때리는 문장이었다. 저자는 결론을 먼저 말하라고 말한다.

그때 문득 떠올랐다. 예전에 라면 끓이다가 스프부터 넣어서 냄비를 태운 사건. 결론(면)을 나중에 넣으니 인생(국물)이 눌어붙었다.

이 책은 그렇게, 단순한 문장 속에서도 삶의 리듬을 가르쳐준다.


“원대한 꿈을 꾸되,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라.”

이 문장은 전형적인 자기계발 문장 같지만 이상하게 진심이 느껴졌다.

한 걸음에 천 리를 갈 순 없지만, 꾸준히 걷다 보면 어느새 도착한다.

요즘처럼 모두가 빠르게 결과만 보여주려 할 때, 이 문장은 다소 느리지만 확실한 위로다.


책의 문체는 참 따뜻하다. 가르치려 들지 않고, 마치 커피 한 잔 앞에 두고 조용히 조언해주는 기분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내 아버지를 떠올렸다. 무뚝뚝한 말투에 감정 표현도 서툴렀지만 그 안엔 언제나 너 잘 되라는 진심이 있었다. 이 책이 바로 그런 느낌이다.

잔소리가 아니라 사랑의 매뉴얼.


결국 이 책은 인생의 조리법서 같다.

불을 너무 세게 하면 넘치고, 순서를 틀리면 눌어붙는다.

조금씩 불을 줄이고, 재료를 제때 넣고, 타지 않게 저어가며 끓이는 게 인생이다.


그러니까 결론은 이거다.

'인생을 어떻게 살면 좋겠냐고 묻는 아들에게'는, 삶의 라면 끓이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면은 끓기 전에 넣고, 인생은 식기 전에 건져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5-10-21 0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생의 조리서란 표현이 멋집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