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치유 식당 - 당신, 문제는 너무 열심히 산다는 것이다 심야 치유 식당 1
하지현 지음 / 푸른숲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류는 심리치료 사례, 라고 되어 있다. 이런 류의 책이 처음은 아니다. 정신과 의사들이 잊을만하면 한 번씩 사례들을 엮어, '당신의 정신 건강을 체크'해 보라고 하신다. 그러면 모두 내 얘기인 것 같고, 당장 정신과 치료를 서두르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태에 직면할 것 같다. 자체가 불안이고 위축이고 스트레스다. 간접 광고에 유린 당한 기분이 든다. '진료는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라는 자막이 깔리면서 '어서 빨리 전문의를 찾으세요. 저는 저자인 동시에 의사랍니다. 찾아 오시는 길은 저자 약력을 참조하세요.'라는 벌건 글씨가 깜빡거리는 것 같단 말씀. 그래서 내 나름대로 현명한 처방전을, 민간요법 비스무레하지만 내렸다. 그런 책을 멀리하는 게 오히려 정신 건강에 유익하다는 결론을 말이다. 잘 난 사람 잘 난대로, 못 난 사람 못 난대로, 경중의 고민을 안고 있고 더우기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는 이미 공기처럼 익숙한 것이 아니던가. 적당한 계발서로 마음을 추스리고 심리서를 몇 권 읽으면서 자구책을 강구하는 편이 낫겠다, 싶었다. [심야 치유 식당]에서 '식당'이란 단어가 아니었다면 지나쳤을 법한데, '식당'이란 단어에서 느껴지는 호기심과 스스럼 없는 유혹에 끌려 일없이 책장을 넘기다가 끝내는 '식당'을 집으로 가져오고 말았다.   

 

현대 사회가 다양화되면 될 수록 스트레스와 강박도 세분화 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야 겠지만 이미 즐길 기분도, 상황도 안 되는 걸 우린 너무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저지르는 '경범죄'처럼 무심하게 지나치는 심리적 억압들은 '털어놓기는 뭐하고, 담고 있자니 찜찜한' 것들이 더 많고, 때론 더 심각한지도 모르겠다. 철주네 식당을 찾는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그래서 한 사람 한 사람의 고민은 적잖이 나를 닮았고, 그 치유는 내게로 이어진다. 소림사 주방장이 우습게도 생각난다. 양파를 썰고 요리를 하고 물을 길어 나르는 일련의 과정들도 수련이라 하지 않던가. 요거, 딱 그렇다. 무심하게 읽힌 단편들이 내공으로 쌓이는 것과 같이 위로가 응어리를 주무르는 것만 같단 말씀.

 

"정신분석적 정신치료를 하면 자칫 빠지기 쉬운 함정이 있어. 치료자가 만든 프레임에 환자를 집어넣는 거야. 애초에 이 사람은 이럴 것이다, 라고 가설을 만들지... 그 프레임에 환자를 가둬놓고 조지는 거지." (103쪽)

의사적 사명감보다는 직업의식을 앞세우거나  때론 자신의 아집으로 환자를 환장하게 만들지 말라는 말처럼 들린다. 이 책의 핵심이 이것이다. 틀 밖에서 환자를 만나고 자연스런 신뢰를 바탕으로 한 유대. 특별한 병명이 나오지 않는 환자중 대다수는 심리적 병이 크고, 따라서 잘 들어주는 것으로도 거 반의 치료가 된다고한다. 심리적인만큼, 의사에 대한 신뢰가 깊으면 설탕물만 타서 줘도 실질적으로 병세가 호전된다고도 한다지 않던가.  환자도 섣불리 토 달지 못하게 하는 의사 선생님들에게 경종처럼 들려주는 철주의 이 말이, 나 보다 거칠게 생긴 애한테 한 대 맞고 대들지도 못하고 있을 때 달려와 "너, 내 동생 괴롭히면 가만두지 않겠쓰", 라고 편들어 주는 형님같다. 메롱이다. 정신과 의사들이 이 부분을 잊지 말았으면, 나도 좋겠다.  정신과 치료에 음악이라. 익숙한 곡들이 잘 끼워맞춘 단추덕에 옷 매무새를 가지런하게 하듯, 그렇게 드문드문 소개된다. 식당 분위기를 위해, 그날의 기분에 따라 철주가 선곡한 이 곡들은 그냥 양념처럼 곁들어진 게 아니다. 요리의 핵심 소스처럼 단편들의 저변에 깔려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가 연상된다. 키득거리면서 읽었었는데, 기발한 참여 정신을 바탕으로, 비타민 주사 한 방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이라부를 보는 것만으로도 유쾌하게 속이 뻥 뚫리는 느낌을 받았었다. 철주가 딱, 이라부를 닮았다. 이라부처럼 코믹하거나 오버 센스를 발휘하는 건 아니지만, 전직 정신과 의사로서의 기질과 역량을, 식당 주인의 편안한 익숙함으로 드러낸다. 우선은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고민을 털어놓게하고 처방은, 이라부처럼 실험적이며 근본적으로 내놓는다. 여기 있는 사례들을 그냥의 사례집으로 엮었다면 충분히 따분했을 터인데, 마치 단편 소설처럼 이야기로 풀어가는 점이 흥미롭다. 심리치료 사례, 라고 장르 구분을 하지 않았다면, 아니 그렇더라도 충분히 [공중그네]를 닮은 소설이라고 해도 좋겠다. 어떻게 믿던 이 책, 참 괜찮다. 누구나 힘들 때가 있고 지나치다싶게 침울해지거나 만사 귀찮을 때가있다. 가끔이라도... 그럴 때면 '심야 치유 식당'에 들러 봄도 괜찮지않을까.  '뭘 하라는 게 아니라, 그냥 술이나 한 잔 하시라구요.', 라고 철주가 말하 듯, 그냥 한 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