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젊은 날의 숲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나 숲이 있다. 젊은 날의 숲은 특히나, 간절했던 목마름과 무미함의 경계를 아우르고 있다. 정체되지 않은 시간의 나무들로 이루어진 흔적이 도사리고 있다. 푸르름만이 아닌, 겨울의 움츠림과 뜨거운 햇살에 고스란히 이파리와 가지를 내주었던, 뒤틀린 흔적과 나무 한 쪽의 썩어들어간, 그리고 황망해진 숲에 가려 나동그라진 밑둥도 있다. 움트기를 시작으로 자라난 나무들은 내 시간들의 흔적이 되었고 그렇게 하나 하나의 흔적들이 숲이 되었다. 한 그루의 나무를 위해 비가 내리고, 햇살이 비추는 건 아니듯, 내 숲의 어느 한 기억도 세상의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토해냈다.    

연주의 숲도, 숲이어서 다가설 수 있었다. 수목원의 안실장은 그녀에게 자라지 않는, 어린 시절, 나무와 같다. 밤마다 잠이 오지 않는다며 걸려오는 엄마의 전화로부터, 끝없이 떨쳐내고 싶었던, 그러면서도 뿌리칠 수 없었던, 눈물로부터도 멀었던 기억의 한 부분이었다. 그래서였을거다. 안실장의 자폐적, 전 부인과 그녀를 닮은 아들 신우의 그림자가 덧대진 그림자처럼, 흑백의 아픔이 선명하지 않은 이유로 들러붙은 이유가. 아버지와는 전혀 다른다. 그러나 아버지의 딸로, 연주에게는 안실장이 아버지만큼이나, 목의 가시처럼 따끔거리는 존재다. 그녀의 그림속, 나무나 뼛조각처럼 피부로 느껴지지 못하는 존재감. 그래서 그녀는 신우를, 더 자라 자신을 기억하지 못하기 전에 한 번 안아보고 싶었던 것같다. 자신의 기억을 한 번쯤은 뜨겁거나, 아무렇지 않게 안아주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평범한 사랑같은 연민, 동질성의 연민같은 사랑의 냄새를, 연주는, 김민수 중위로부터 맡는다. 그 네들의 아버지가 하위 공무원으로 마감한 낙엽을 거름으로 해서 자란, 원천적 동질감의 냄새라는 의미가 아니더라도, 다가오는 김민수 중위를 향해 조금씩 몸을, 연주는 기울이고 있다. 단조롭다. 수목원의 나무를 그리는, 발굴된 뼛조각을 그리는 연수의 무심한 손길처럼 그냥 그렇게 흐른다. 숲이라는 제목을 가졌음에도, 이 책, 무척이나 건조하다. 인생이 그러하듯 울창하고 촉촉한 숲만 있는 건 아닌가보다.때문에 기억속에 묻혀 숨겨놓은 가슴, 어느 한 구석을 더욱 바스락거리게 만들었다.  

 

"나무는 숲의 익명성에 파묻히지 않았다. 드문드문 서 있는 나무는 외롭지 않고, 다만 단독했다."  p.63  

"그것이 사람과 나무의 차이"라고 연주는 말했지만, 내겐 그래서 더욱 같다는 말처럼 들린다. 연주의 시간처럼 나의 어느 시간도 익명성에 파묻히길 원하지 않았고, 또 그랬다. 기억하지 못한다고 없었던 건 아니듯 나무는 그 자리에 있었고 사라져도 그랬다. "외롭지 않은 단독함의 나무"처럼 내 젊은 날과 이후의 시간들, 숲은 여전하다. 바스락 거리는 건조함으로부터 여름 장마가 이어지고 가신 뒤에도 계속될, 연주와 나의 숲이 자족하며 신생의 시간을 견디도록.  

  

"추위 속에서 나무들은 우뚝하고 강건했다. 나무들은 추위와 더불어 자족해서, 봄을 기다리는 것 같지 않았다. 눈 덮힌 숲에 한낮의 햇볕이 내리면 숲은 부풀어 보였다. 숲의 봄은 언 땅 밑에 숨어 있다가 나무뿌리로 스며들고 나무기둥을 타고 올라가서 공중으로 발산되었다. 숲의 봄은 나무가 뿜어내는 신생의 시간이었다." p.93   

 

자칫 이 소설이, 지쳐감에 흐름이라 여겨질 뻔했다. 그러나 그건 아니다. 연주의 아버지, 그러니까 존재감을 상실한, 그림속 느낌처럼 전달되지 못하는 아버지가, 한 줌 뼛가루로, 밥에 버무려져 새들에게 뿌려질 즈음, 나는 숲의 계속되는 신생의 의미를 읽게된다. 그리고 아버지가 주었던, 보이지 않던, 느껴지지 못했던 모두 퍼주심, 남김없이 내어주심을 깨닫는다.  나, 어쩌면,  숲이어서 견딜 수 있을 것 같다. 그 시간과 이 시간들. 김훈 작가가 사랑과 희망이기를 말한 날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