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설탕 두 조각 소년한길 동화 2
미하엘 엔데 지음, 유혜자 옮김 / 한길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덥수룩한 수염에 안경 너머로 보이는 선한 눈망울이 마냥 소년같기만 한 미하엘 엔데는 좋아하는 작가를 넘어서,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물론 그에 대한 개인적으로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의 글과 선한 눈매에서 감지된 나만의 느낌이다. 판타지 문학의 고전이라 할 <모모>와 <끝없는 이야기>로 나와 내 아이를 빠져들게 만들었던 그가, 이번엔 동화 <마법의 설탕 두 조각>으로 찾아왔다.

렝켄은 착한 아이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부모 입장에서 보면 이 정도의 착함은 지니고 있다. 그러나 또 대부분의 아이들처럼 렝켄도 부모님이 자신의 말을 잘 들어주지 않는다는걸 문제 삼기도 한다. 아이스크림을 못 먹게 하는 아빠, 신발 정도는 스스로 빨아 신으라는 엄마를 상대로 렝켄은 집안에서 우위를 선점하고픈 욕심에 ’요정’을 찾아나선다. 요정을 묻는 렝켄에게 요릿집을 알려주려는 경찰관아저씨가 한 번 웃겨줬다.  어쨌든 의지의 렝켄은 진짜 요정을 찾아가서, 자신이 감당해야할 사람이 하나도 아닌, 둘 이라는것과 부모님보다 커져서 자신의 고민이 해결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요정이 건네준 마법의 설탕 두 조각을 먹은 부모님은 렝켄의 말을 들어주지 않을때마다 키가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빨리 어른이 되고싶어
어릴적에는 부모님처럼 빨리 어른이 되어서 무엇이든지 내맘대로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랬다. 렝켄처럼.. 그러나 가만히 두어도 세월은 나를 어른으로 만들었고, 지금은 다시 그 어린 꼬맹이로 돌아가고 싶을때가 있다. 아직 렝켄은 모르겠지만.. 아이들의 마음을 콕 짚어 소원을 들어준 미하엘 엔데. 렝켄이 원한건 정말 부모님이 자신보다 작아지는것이 아니라, 자신의 고민을 이해하고 들어주는 사람을 찾은건 아닌가 싶다. 점점 작아지는 부모님을 보면서 마냥 행복한 일만은 아니라는걸 깨달은 렝켄은 결국 부모님께 드렸던 설탕을 자신이 먹는걸로 마법의 주문을 바꾸기로 결심한다. 이것이 또한 미하엘 엔데식의 해결법이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스스로 반성하고 책임지고, 되돌릴수 있는 기회를 적절히 허락하는것 말이다.

아이들에게 우리 어른들은 언제나 좋은것을 가려서 주려고한다. "너희들을 위해서란다." 라는 말을 덧붙이며 언제나 좋은것만 가르치려고 하면서도, 아이의 생각이 어디서 맴도는지를 간과할때가 있다.   가끔 내가 어릴적을 떠올려 보는건 어떨까? 어떤 날은 숙제나 공부같은거 하지 않고 마구 놀고 싶었던 기억, 극구 뜯어 말리는 불량식품에 군침 흘리던 기억, 나만의 비밀 일기장을 보물창고에 감춰두고 싶었던 기억, 엄마가 마시는 커피 한 방울이 꿀맛처럼 달콤했던 기억, 부모님처럼 마음대로 사고 싶은걸  사들이는 상상, 친구집에서 밤새 수다를 떨다가 친구와 잠들고 싶었던 기억들 말이다. 그렇다면, 아이의 삐뚜름한 말과 행동을 보며 소리를 꽥 지르기 보다는 한 번 웃어줄수도 있지 않을까싶다. 물론 그리고 나서는 안된다고 말을 해줘야겠지..기억은 기억일뿐이고, 현실은 현실일 뿐이니까..

아이와 함께 한 마법의 설탕이 달달하게 혀 끝에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