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에밀리 브론테는 [제인 에어]를 쓴 샬럿과 [아그네스 그레이]를 쓴 앤의 자매이다. [제인에어]가 먼저 출간되어 대성공을 거둔데 비해 이 작품은 너무 야만적이고 구성이 허술하다는 혹평을 받았으나, 나중에는 영어로 쓰인 최고의 소설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게 된다. 그녀의 이 작품이 내가 읽은 문학 중 최고의 소설중 하나임을 감히 단언 할 수 있다. 


록우드라는 사람과 넬리라는 가정부 두 사람의 이야기로 구성된 이 작품은, 워더링 하이츠가로 불현듯 찾아 든 이방인 같은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이라는 두 주인공의 강렬한 야성으로 비극적인 사랑을 이야기한다. 히스클리프는  헤어튼 언쇼의 묵묵한 보살핌으로 강하게 성장하지만 언쇼의 아들 힌들리에게 끊임없이 학대 받고, 그의 여동생 캐서린 린튼의 사랑을 구하는 일에 사투를 벌인다.  그러나 헤어튼 언쇼의 사망과 더불어 한 작은 마을은 폭풍의 그림자가 드리우게 된다. 히스클리프의 캐서린에 대한 비뚤어진 사랑과 집착으로 모든 사람들은 그의 복수의 그늘아래 서서히 스러져 간다.     


록우드와 넬리의 이야기는 평판적인 서술이 아니라 그 가운데서 등장 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그들의 내면이 생생히 드러나는 드라마와 같은 소설이다. 그리고 이야기 속에는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의 열정적이면서도 비극적인 사랑이 황량하면서도 아름다운 자연 가운데서 때로는 초자연적인 색채를 띠면 전개되고 있다. 소설가 서머싯 몸도 이 작품의 문체와 구성에 결함이 있다고 말하면서도 매우 뛰어난 소설이라고 극찬했다 한다.


히스클리프의 집착에 가까운 사랑의 시도들이 어쩐지 내게는 연민처럼 다가왔다. 그 안에 악마의 본성이 숨어 있었다 한들 캐서린과의 사랑을 주위에서, 아니 최소한 힌들리만이라도 묵과했다면 비극적 결말이 없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봤다. 그랬다면 너무 단순한 사랑이야기에 이 책이 그다지 재미 없었을 수도 있었겠지만 말이다. 캐서린의 딸 캐서린과 헤이튼과의 사랑이 시작되어 지고 히스클리프는 죽게 되지만, 어쩐히 해피엔딩이라는 생각은 조금도 들지 않는것은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이방인에 대한 인간의 단절된 벽은 높기만 하다. 히스클리프의 시대에도 지금 나의 시대에도 변함없는 이방인에 대한 배척이 가슴 아프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혈통에 집착하는 민족은 그 수위가 더 하다. 비근한 예를 들어보자. 입양아에 대한 우리의 편견은 어떠한가.. 우리의 버려진 아가들이  외국에 입양되도록 돕고 있는 홀트재단의 통계에 따르면 해외로 입양되어지는 아이는 여자아이와 남자아이에 대한 성별 차가 그다지 없는 것에 비해 간혹 국내 입양을 하는 경우에는 여자아이만을 원한다고 한다. 대물림이나 유산상속등의 불편한 뒷일이 생기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란다. 아이를 가족으로 받아들이는데 훗날의 이기적 타산까지 고려하는 치밀한 이기심에 속이 쓰려온다.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게 가족인지 의아하다. 그저 어린 시절의 귀여운 재롱을 위해 아이를 가족으로 받아들인다는 안이한 생각이 그 아이에게 얼마나 돌이킬 수 없는 상처인지를 안다면 조금은 더 신중하고 진실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이런 진실에서 멀어진채로 받아들여진 히스클리프의 애증을 바라보며... 슬픈 공감에 젖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