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에게는 두 개의 눈이 있다. 보여지는 사물을 받아들이는 생물학적 눈과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 읽어 내는 마음의 눈이 그것이다. 눈꺼풀을 열고 바라보는 세상은 나의 선택에 상관없이 시야를 점령한다. 반면 마음의 눈은,  내가 원할때만 볼 수 있다.세상의 빛과 사랑하는 것들을 향한 시선은 나의 의지에 의한것일뿐 눈이 대신해 주지 않는다. 간절히 원하고 찾을때만 그것이 보여진다. 마음의 눈을 뜨기 위한 일은 눈꺼풀을 들어 올리면 되는 간단한 노력이 아니다. 결국 몸의 눈은 ’자유’이며, 마음의 눈은 ’의지’이다. 


내 의지의 실현을 위한 조언자, 파울로 코엘료를 만나다.  
작가에게 경험이 밑천이라고 본다면, 파울로 코엘료는 두둑한 밑천을 가졌다. 그의 다채로운 삶의 빛은 그에게 무한한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주었고  그는, 그것을 ’금’같은 작품으로 빚어내는 연금술까지 알고있다. 그가 금기를 깨고 연금술의 비밀을 들려주는 책이 <연금술사>이다. 돌을 금으로 변하게 하는 비법을 알려준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다. 한 글자라도 흘릴까 조심스레 책장을 넘겼다.

세상을 두루 다니고자 양치기의 길에 들어선 것만으로도 ’산티아고’는 보물을 찾을 준비에 들어선 것이다. 양떼의 움직임과 소리를 보고 들을 수 있었고 별과 바람이 들려주는 것을 읽을줄 알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그는 꿈을 쫓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자신의 꿈을 향해 있는 표지를 따라 떠난다.  산티아고가 알고 있는것을 나도 알고 있다. ’미지’란 말은 ’두려움’과 같은 것이란걸 말이다.  ’두려움’은 갖고 있는 것들을 잃게 되는 것에 대한 것이고 ’미지’란 갖고 있는 것들을 포기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렁에도 산티아고가 ’미지’를 선택할 수 있었던 건 용기에서 비롯한다. 새로운것에 대한, 미지에 대한 도전적 용기만이 진정한 보물을 만나게 해준다. 보물이 묻힌 피라미드가 있는 곳으로 가려면 양떼를 포기해야만 한다. 우리는 선택의 길에서 안전하고 보장적인 양떼를 놓치 못할때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건너편에 있는 보물을 보면서도 그것이 보물인지도 모르고 지나친다. 종종 눈으로 보여지는것들에 단련된 몸은 마음의 눈이 닫혀 있는걸 잊게 만든다.  


산티아고의 피라미드는 왜 사막 한 가운데 있었을까? 갖고 있는것을 내려 놓는것보다  더 두려운 사막을, 보물의 길목에 펼쳐놓은것은 파울로 코엘료의 경이로운 의도이며, 이런 것이야말로 파울로 코엘료의 글을 읽는 맛과 즐거움이다.  ’자아의 신화’ 라고 명명한 파울로 코엘료의 비밀은 계속해서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인생이 때론 사막을 건너는 길고 긴 여정이면서 메마른 것이기도 하고, 걷잡을 수 없는 모래폭풍에 휘감기는 순간을 맞기도 한다는것과 함께 무언가를 간절히 원할 때 온 우주가 소망이 실현되도록 도와 준다는 비밀을 속삭인다. 산티아고의 소망이 실현되도록 우주는,  늙은 왕의 예언이었으며 연금술사의 가르침이었다. 산티아고가 그들에게 의지의 눈을 뜨지 않았다면 우주는, 꿈을 향한 표지는 바람처럼 그의 목전에서 황량하게 흩어졌을 것이다.
    
긴 여정의 끝에서, 보물이 어디에 있는지 온몸으로 느끼며 솟아오르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는 산티아고를 보며 난 전율했다. 찔림의 통증처럼 깨달아지는 것이 있었다.  용기, 도전, 자아 그리고 보물을 아우르는 단어는 마음이었으며,  ’연심술鍊心術’ 이었다.  이 비밀을 간직한 채 나의 자아와 꿈의 실현을 위해 홀가분한 마음으로 정진할 수 있으리란 믿음이 생겼다. 신앙처럼 파고드는 파울로 코엘료의 지혜가 선혈처럼 분명하게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