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리대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인간의 본성은 내재되어있는것인가...? 아니면 사회성에 기인되어 적응하며 변화하는가...? 성악설이니, 성선설이니 하는 단어 하나로, 아님 어떤 주장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인간의 본성,,, 그 중에서도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보여주는 잔혹성은 무엇으로도 설명되어지거나, 납득되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은 소년들의 모험을 담고있다.
최소한 외형적 소설의 배경은 그러하다. 그러나 이 소설은 [15소년표류기] 나 [보물섬] 등 소년들의 모험소설과는 사뭇 다르다. 전개방식이나 등장인물을 소년들로 하였을 뿐,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잔혹성과 군중성, 독재성을 예리하게 소설속에 녹아있다. 그래서 더욱 소름이 끼친다. 아이들에게 기대하는 여지없최소한의 순수함을 여지없이 져버리고 섬에서의, 소년들 모습은 [악마]로변해간다.
물론 모든 등장인물이 잔혹성으로 일관되어지는건 아니다.
그들의 본성에 역행하며 도덕적인 장의적인 지도자상의 인물도 있고, 우직하고 순수함을 지키는 인물, 지혜를 갖춘 인물도 존재한다. 단지 그들이 신체적 우위에 있고,권력지향적인 무리들과 얽혀 있을때 야만에 반하는 그들은 스스로의 무기력과 한계에서 저항과 소멸이라는 짓밟힘의 모습을 그린다. 어찌 보면 우리 사회의 인간군상[群狀]을 축소시켜놓은듯하다. 더욱 실날함이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매사에 어렵게 생각하고,
정리해서 말하려 하고, 어떤 일에 이유를 달아야만 직성이 풀리는 묘한 굴레를 짊어진다. 이것은 교육되어지는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점점 단순한 것이 진리라는것에서 멀어지려고 한다. 그것들을 잊어간다. 그리고, 사회속에서 내가 사회적으로 기여하느것에 대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누리는것이 익숙해진다. 과연 그것은 어떠한 의미로 나에게 작용하게 되었는가. 그런 성향은 언제부터 내게 있었으며 언제부터 표출되어졌는가...?
한동안의 충격으로 멍해있었던듯 하다. 이 책을 읽은 후, 학창시절 읽었을때는 오히려 충격이 덜 하다고 느꼈었는데, 지금에서 더 큰 전율을 느끼는것은 왜일까? 내 안의 나를 들켜버린듯한 무서움과 굴욕감때문은 아닐런지. 소설가들은 흔히, 본인이나 주위에서 소재를 찾는경우가 많다고한다. 그렇다면 교사였던 윌리엄 골딩이 학교라는 小社會에서 인간내면의 악마적 잔혹성을 엿보았을까..? 아니면 평소의 인간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에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므로, 편법을 쓴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세밀한 감정의 묘사, 철저하게 일관되어지는 인물들의 성격과 모습..시간이 흐를수록 거침없어지는 전개성은 가히 세계적 문학답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노벨상수상작들의 난해성과는 조금 다른 소설이기도 하다. 저자가 선생님이라서 조금 쉽게(?) 써 주셨나보다...중학생이 되는 아들에게 권해주고픈 몇권의 책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