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1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두아이의 엄마이면서 여전히 제제에 대한 나의 애뜻함은 변함이 없다.   
제제라는 이름만큼 나를 짠하게 하는 것도 없다.천하의 말썽쟁이로 어른들 눈에 보여지는 제제는 사실 엉뚱한 생각과 그것을 시도하는데 한치의 주저함도 없는게 사실이다.   아마 내 주위에 그런 아이가 있다면 나도 그때 제제를 바라보는 다른 어른들과 별 차이 없이 그 아이를 볼 것이다.   나 또한 그 안의 마음을 헤아리고 이해하고 바라보는 눈이 특별하지 못한 평범한 아줌마라서...

   
 

왜 이래야만 할까? 어째서 착한 아기 예수는 날 싫어하는거지?  외양간의 당나귀나 소들까지도 좋아하면서 왜 나만 싫어하냐고?  내가 악마 같아서 벌을 주는 건가? 만약 내게 벌을 주는 거라면 내 동생 루이스에게는 왜 선물을 주지 않는 거야? 말도 안 돼.  루이스는 이헐게 천사 같은데, 하늘의 천사도 우리 루이스만큼 착하진 못해..   

 
   

 

크리스마스에 교회에서  선물을 받을수 있다는 말에 동생 루이스를 데리고 힘겹게 가는 제제.  천하의 말썽꾸러기로 어른들에게 보여지는 제제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꾸욱 짚어서 이야기한다.   이 부분은 읽을때마다 한번도 눈물을 흘리지 않은적이 없다.    힘들어 하는 동생을 얼르고 달래고 그래도 안되니까 업고서 (동생 루이스가 납덩이처럼 무겁게 느껴진다면서도..)목적지까지 가지만 행사 시간은 다 끝나버렸고 제제와 루이스는 작은선물 한개도 받지 못하고 돌아온다.. 그러면서 제제가 속으로 생각하는 말이 너무나 마음아프다.  


처음 이 책을 읽었을땐 나도 학생이었다..  그리고 제제만큼은 아니더라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이 책이 사실처럼, 정말 아프고 애뜻했다.. 그리고 한동안 내가 제제를 따라했던 유치한 행동이 있었는데, 내 사물에... 내 주위 사람들에 대해... 나만의 이름 붙이는 놀이를 즐겼다는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조금 우스운것도 사실이지만 그래서 오래도록 기억속에 함께 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다. 정말 아름다운 이야기라고 생각하면서도 이책이l 아픔으로 기억되는 이유는, 제제가 이런 슬픔들을 너무 이른 나이에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아픔을 겪으면서 너무 빨리 철이 들어가는 꼬마 제제가 안쓰럽다.  

우리 아이들에게 ’너는 언제 철이 들래..?’ 하며 무심코 한마디 하다가 뜨끔하며 한박자 쉬어간다.  빨리 철이 든다는것은 쉬운일도, 꼭 그렇게 좋은 일만도 아니라는 생각에.....  어쩔 수 없이 엄마는 이렇게 되는가 보다. 좀 더 사랑하고 조금은 덜 철이든 아이로 자라는 제제였으면 좋겠다. 가슴 아픔이 아름다운 동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