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을 위한 동화란..이런 것이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느니, 닭대가리니 하는 말들 때문에 제목에서 ’암탉’을 보면서 기껏해야 ’닭’ 이야기려니 생각했다. 그런데 기껏이 아니다. 그녀(?)가 보여준 꿈과 희망을 위한 도전과 용기, 그리고 자식을 위한 지극한 모성애가 가슴 따뜻한 이야기다. 아이보다 어른인 내가 더 감동을 받은 동화였다. 황선미 작가의 깔끔한 글과 이입될수 있는 감정 전달의 명료함이 돋보인다. 감정을 쥐어 짜지 않아서 좋다. 또 하나..내가 좋아하는 김환영님이 그린 그림이, 변함없이 정겹다.

 
꿈과 희망을 위한 무한 도전 
양계장에서 낳은 알을 한 번도 품어보지 못하고 주인 부부에게 갈취 당하는것에 대한 부당함을 느끼고, 단식도 불사하며 탈출을 감행하는 암탉, ’잎싹’ 은 마당으로 나가 알을 품겠다는 의지를 다진다. 폐닭의 끝이 뭔지도 모르면서, 폐닭으로 양계장 밖을 나갈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희망은 구체화된다. 그러나 정작 양계장 밖의 세상은 잎싹이 꿈 꾸던 세상과는 너무 다르다. 양계장 안에서 바라본 마당은 ’꿈’이었지만, 막상 발을 디딘 마당은 ’현실’ 이었다. 하지만 잎싹은 굴하지 않는다. 족제비와의 사투, 청둥오리와의 만남, 마당 식구들의 구박에도 꿋꿋하게 자신의 꿈 - 알을 품어 이쁜 새끼를 보고야 말겠다는 - 을 향해 정진한다. 그리고 그 꿈은 엉뚱한데서 이뤄진다. 갈대밭에 홀로 남겨진 알. 누구의 알인지도 모르면서 정성으로 품는다. 

잎싹과 그녀가 품고 있는 알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족제비에게 내어준 청둥오리의 사랑에 코끝이 찡하다.  누군가를 위해 모든것을 다 주어도 아깝지 않을 사랑이 있다면, 그것은 가족의 사랑일 것이다.  따뜻한 가족애가 아직도 이 세상을 채우고 있음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청둥오리로 인해 그것을 다시 생각해본다. 잎싹도 그 사랑을 느꼈으리라. 자신을 믿어주고, 아껴주는 청둥오리가 있어 잎싹은 어려운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용기를 낼 수 있었을거란 생각이 든다.  아이들에게 공부해라, 착한 사람 되거라..라는 말 보다는 ’너를 믿고 있다’ ’ 너를 아낀다’ 는 무언의 응원이야말로 바르고 건강한 아이로 자라게 하는 힘이 되지 않을까..


엄마의 이름으로,  아낌없이 주련다 
알을 깨고 나온 녀석은 부리도 넙적하고 발가락도 붙었다. 노오란 색이 아닌 누런 털빛이다. 이상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에서 주인공은 가운데 발가락이 닮았다는 이유를 들어서라도 자식을 인정하고 싶어하는 체념적 위안을 하는 내용이 있다. 하지만 잎싹은 그런 부질없는 닮음을 찾지 않았다. 그저 자신이 품은 알이 깨어났으니 지 새끼인것이다. 빨간 벼슬대신 초록머리여도 달라지지 않은 잎싹의 모성애.  단일민족이란 이름아래, 아직도 이땅의 많은 혼혈아들이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 입양을 꺼리는 혈연 중심적 가족관.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벽을 두는 잠재적 이기심에 돌을 던진다. 


   
  정말 굉장하지! 도망쳐야겠다는 생각뿐이었는데 몸이 떠오르잖아. 내가 날 수 있어!
초록머리가 기쁨에 들떠서 외쳤다. 잎싹은 가슴이 벅차서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냥 미소만 지었다. ’기적이야! ’ 
 
   



자신보다 부쩍 커버린 초록머리. 날개짓을 하며 무리와 떠날 준비를 하는 새끼를 위해 마당을 박차고 나와 야생을 길들여준 암탉, 잎싹은 마지막까지 엄마의 이름으로 기꺼이 족제비의 먹이가 되기로 결심한다. 자신을 믿어주며 죽어간 청둥오리가 했던 것처럼...꿈을 위한 도전과 용기..그리고 무엇보다 어미의 지극한 헌신과 사랑을 보여준 잎싹에게 감동 받은 동화이다. 사람들이 엮어내는 치열하거나 혹은 우울한 소설들 보다 백배는 더 좋은 동화. 어른이 읽어도 좋을..이 아닌, 어른이 꼭 읽었으면 하는 그런 동화이다. 한동안 닭고기를 못 먹게 되더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