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그네 (양장)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31
헤르타 뮐러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15세 레오는, 강제수용소로의 이유를 "돌에도 눈이 달린 고무같은 소도시를 벗어나고 싶다"는 자의적 의지로 시작하고 있다. 헤르타 뮐러로 인해 소설화 된 오스카 파스티오르의 수용소 체험담은 여전히 오스카 파스티오르의 언어로 쓰여있다. 수용소에서 돌아 온 레오의 가방안에 담긴 배고픔의 언어들은 헤르타 뮐러라는 여과기를 거쳐도 여전히 물리적 손상을 입지 않았다. 그리고 여과기를 거친 배고픈 연대기는 시詩를 걸치고 있다. 수용소에서의 생활에 대한 소설적 회고록에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감상적 사색이 가능한 이유이기도하다.
할머니의 한 마디 "너는 돌아올 거야",로 인해 그는 돌아왔으므로 말 할 수 있다. 어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한다,는 걸. 수용소에서 ’배고픈 천사’의 적수가 될 수 있게 했던 레오의 상상 언어들은, 인간이 감당하기 힘든 모든 상황들에 대한 삽질이었다. 그는 자신을 살리기도 할 수많은 말들에 둘러싸여 있기를 원했고, 그렇게 했다. 그러나 가장 아래에 숨겨둔 마지막 ’인간성’마저도, 배고픈 천사는 상처를 내고만다. 누군가의 죽음에도 슬픔이라는 감정을 이끌어내지 못할 만큼, 레오의 언어는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오지 못한다. 인간 감정의 마비를 가져 온 시대적 아픈 현실은 오로지 인간들이 감당해야 할 몫이었다.
"내 배고픔은 심장삽을 필요로 한다. 나는 심장삽이 내 연장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나 심장삽은 내 주인이다.
연장은 나다. 심장삽은 나를 지배하고 나는 굴복한다. 나는 어쩔수 없이 삽을 좋아해야 했다. 나는 비굴하다." /96
나는 레오의, 이 고백이 무척 아팠다. 저항을 허락하지 않는 배고픔에 굴복당하지 않을 인간이 어디 있을까. 그럼에도 비굴하다는 레오의 고백이 가슴 아프다. 인간을 굴복시키는 수많은 다른 모습의 ’배고픔’들. 우리는 그것들에 항거한다. 스스로 수용소 생활에서 돌아 온 레오가 평생 핥아내도 아물지 않던 상처. 인간 내면을 잠식하며 사고성을 박탈함과 동시에 감정을 부식시키는 것에 대한 굴복. 레오의 굴복을 인정할 수 밖에 없어서 고통스럽다. 이제는 잊혀졌거나, 이 시대 어디에도 닿아있지 않은 연장선상의 이 이야기를 우리는 알아야한다. 왜? 다시 시작해야하니까. 굴복에 의한 자괴감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하기 때문이다. 기억을 깨고 나와야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것을 입기 위해 묵은 것을 벗어 던져야 하기 때문이기도하다. 우리가 ’배고픔’ 과 이외의 것들에게 굴복당했던 기억을 뽑아내고 새로운 희망을 다시 심어야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