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의 연애 심리학 - 이성을 끌어당기는 신체언어의 비밀
토니야 레이맨 지음, 강혜정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이성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만 있다면 마음에 있는 이성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알 수 있건만..그래서 나에게 호감을 갖고 있단 것만 확인되면 더 이상 대시하다 차이는 일은, 아무리 생각해도 얼굴 붉어질 망신은 피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 적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독심술은 초능력에 해당되기에 일반 사람들에게는 언감생심이다.

어릴 적 아카시아 나무 잎을 하나하나 떼어 내며 그렇다 아니다라고 되뇌이다 마지막 떼어내는 잎사귀에 그렇다나오면 환호하듯 차라리 그렇게 라도 알 수 있다면 좋겠지만 말이다.

 

이러한 애태움을 하나의 관음증으로 결합해 낸 상품이 모 공중파 방송에서 방영되는 이란 프로그램일 것이다. 시청자들이야 참가 남성과 여성들이 누구를 선호하는지 알지만 참가자들은 상대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해 오죽 답답할까?

이성의 마음을 그렇다면 전혀 알아 챌 수 없단 말인가? <몸짓의 연애 심리학>은 이렇게 말 못할 고민속에 애타게 이성만 찾거나 바라보고 있는 이들에게 상대가 어떤 몸짓을 하는지에 따라 심리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비언어 의사소통 전문가로 꼽히는 저자는 이미 <그녀는 왜 다리를 꼬았을까>, <몸짓의 심리학>을 통해 예의 그의 장기이자 전문 분야인 비언어 심리학 분야를 일반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또 일상에서 겪었던 모습들이 실은 우리가 몰랐던 심리상태의 발현임을 깨닫게 해준다.

 

진화심리학과 사회학 측면에서 이성간 나타나는 몸짓의 의미를 짚어주는 이 책은 남녀가 이성에게 매력을 느끼는 신체조건도 생활방식과 함께 달라져 왔다고 충고한다. 지금의 시대에서야 몸짱에 중성적인 외모의 남자들이 선호되지만 과거에는 배나온 사람들이야 말로 부를 상징하는 표시이므로 자신을 먹여살리는데 충분한 경제적 여력이 있다고 판단되어 여성들에게 인기가 더 많았던 점이 바로 그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만의 신호를 가질 것을 조언한다. 짝짓기에서 타고난 선수가 아니더라도 평범한 사람이 신체언어에 촉각을 기울임으로써 자신의 매력을 발휘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관심 가는 부분은 책 말미에 나오는 데이트를 성사시킬수 있는 10단계 신체언어 플랜이 아닐까 싶다.

 

자신감으로 매료시키고 적절하게 다듬고 입으며 냄새의 힘을 자각하는 것, 신체언어로 관심을 보여주고 거절을 피하며 선수(? 양다리 세다리 들 바람둥이들을 말한다) 들을 알아보는 것, 사회성을 보여주며 능숙하게 대화를 이끌고 친밀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유지한다는 이 신체언어 플랜은 상당히 공감가는 부분이 많다.

 

대부분의 솔로들이 이성에 대한 관심은 많아도 정작 그 이성 앞에서 자신에 대한 것을 얘기할 때 쑥스러워하면 이미 매력을 반감시키고 만나는 것임은 이성에게 최소한의 상처만 받았다 해도 모두들 후회했던 과거의 그 우유부단함에 이면에 자신감이 없었음이 자리잡고 있었음을 깨달았을 것이다.

 

청춘남녀들에게 이 책이 이성을 판단하고 자신의 행동을 결정짓는데 좋은 충고가 될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