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읽기만하는 바보 - 1323청춘들의 인생을 바꿔줄 ‘기적의 독서법’
김병완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면 오직 읽기만 하는 바보.

나 자신같다. 책을 보면 무조건 일단 읽기부터 한다. 사실 이 책 저책 이것저것 읽지만, 내 스스로 가리는 책이 있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무자비로 다 읽기도 하는 것같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건 역시 읽기만 했다는 점이다.

 

이 책을 보면서 깨달은 점이 몇가지가 있다. 그건 내가 책을 읽기만 했다는 것이고, 그것은 그 어떠한 이유로든 이득이 되지 않았다는 것. 사실 이점이 내 스스로 좀 슬프게 느껴졌다. 그동안 책을 읽으면서 들인 시간도 있고 그것뿐 아니라 그 책이 나중에 기억이 잘나지 않고 희미하게 기억이 나더라도 그게 어느정도는 나에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는데 이책을 보면 그건 정말 미미한 것이고, 그 미미한 것 조차 없다는 것이다.

 

그래도 책을 읽으면서 많은 것을 깨닫게 됐다. 이 책에서 그 토록 말하고 싶어하는 책을 읽는 방법이라든가. 물론 책에서 말하면 책을 읽는 방법은 자신만이 안다. 자기 자신이 자신의 독서 방법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알려면 역시 이것저것 많은 방법을 접해봐야 되는 것 같다.

 

책에서 말하는 많은 위인분들이나 유명하신 분들은 하나같이 독서의 신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는 공부의 신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독서의 신이라는건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물론 나 또한 그랬다. 나중에 내 아이가 태어나면 공부를 잘했으면 좋겠지. 독서를 잘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독서가 중요한걸 알고 있지만, 그건 공부의 하나의 수단이요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건 잘못된 생각이고 독서를 통하여 방법을 익히게 되면 공부는 저절로 따라오는 것이고, 무의식적으로 더 좋은 방향으로 내 길이 생긴다는 것이다.

 

 사실 앞부분을 읽으면서 결론은 내가 책을 읽는 방법을 터득해야되나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읽게 되면 책을 읽는 방법이나 그외에 다른 책을 또한번 발견하는 토론방법이라든가, 자세히 나와있어서 좋은 것 같다. 일단 방법을 깨닫지 못한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해서 따라하면서 그 방법을 익히면 더 좋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저자는 중간중간 많은 책에서 발취를 하여 그 내용을 보여준다. 그 부분을 읽으면서 내 스스로 느껴지는 것도 있으며, 이런 것도 있었구나 라는 다른 느낌으로도 다가갈 수도 있다.

 

이 책을 통하여 책은 읽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라 아니라 그걸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읽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방법으로 책을 다시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는 것을 또 한번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 일 아닌 것 같이
정민기 지음 / 하우넥스트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시집의 경우는 생각해보면 얇고 글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난 시집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게 되어있는 시집에는 내가 느끼기에는 힘든 무언가가 있다는 생각이 된다.

시라는 것이 무언가가 느껴지고, 생각하게 되고 그런것이라 생각이 되는데 그저 짤막짤막하게 나와있는 글씨만으로 내가 이해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었나 싶다.

그래서 이 책을 접해보자고 생각한 것은 아닌가. 싶다. 시집이긴하지만 포토 시집. 다른 시집과는 다르게 사진들이 나열되어 있다는 생각에 조금은 다르게 접할 수 있는 건 아닐까 싶어서 시집을 다시 들게 되었다.

 

이 시집의 경우에는 내가 보기엔 글씨보다는 사진이 많은 편이다. 그리고 그래서 그런지 글로만 읽는 것보다 사진과 같이 보고 읽는 것이 먼가 느껴지는게 더 많다고 생각이 든다. 사진들이 무작정 나열되어 있는게 아니라 시 하나하나당 나와 있는 느낌과 가르키는 것들을 사진으로 남기는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더 이해하기 좋았다고도 생각이 든다. 물론 이 시들이 내가 생각하고 있는 느낌과 맞는 건지는 알 수 없지만, 나같은 초보도 읽기에 아~ 라는 소리가 나오는 정도이니 역시 사람은 백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다라는 말을 다시한번 실감해보기도 한다.

 

사진들은 대부분 우리 일상이다. 그저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가는 일상들이 많은 사진들로 쭉쭉 표현이 되어 있는 느낌이다. 그리고 시집이면 가볍고 한손에 들고 다니는 인상이라 포토시집이면 좀 두껍고 무겁진 않을까라는 생각이었으나, 책은 생각보다 아 가볍네? 라는 생각이 들게했다. 그리고 나름 신경쓴것 같지만, 시집보다는 크지만 일만 책에 비해서는 매우 작은 느낌이다. 두께 부분에서는 아무래도 방대한 사진이 들어가다보니 일반 시집보다는 두꺼운 편이다.

 

이 책은 시만 의미 있는 것이 아니라, 사진에도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굳이 시가 아니더라도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 많은 의미를 띠고 있는 듯한 느낌이라. 나처럼 시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읽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치명적 배후, 성性 - 상식과 몰상식을 넘나드는 인류의 욕망
이성주 지음 / 효형출판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성은 역사의 카메오다.

 

이 책을 처음 접하면 눈에 띠는 구절이다. 성이라는 것이 매번 어른들앞에서는 꺼리고, 어른들마저도 아이들앞에서는 꺼리는 단어인듯 하다. 그래서 그런지 그만큼 호기심이 가는 단어가 아닌가 싶다.

 

이책은 매번 딱딱하게 접하는 성이 아닌 역사의 성이 어떠한 영향을 국가에 미치게 되었는지, 또한, 옛날에는? 다른 국가에서는? 어떠한 이 성이라는 단어로 어떠한 일이 일어났는지, 간단하게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말그대로 이야기들을 풍자했다. 라고 생각이 되었다.

그래서 딱딱하게 느껴지지 않고 정말 재미있게 읽게 되었던듯 하다.

 

역사에서 숨겨져왔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성.

이 성이라는 단어가 역사에 많은 일들을 했다. 말그대로 배후로 조종을 했다고 해도 맞는 말이라고 생각이 된다. 전쟁을 조장하기도 하였으며, 한 나라의 생각을 바꾸고 인류의 인구수마저도 조절하게 하였고, 국가끼리 이 때문에 싸우기도 했다면 믿겠는가..

나또한 믿지 않았지만, 이 책을 통하여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고, 이 일들이 결코 가볍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물론 읽으면서 정말 진실일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정말 생소하게 이런저런 일들이 많았었고, 이게 단순한 소설같이 지어낸 것이 아니라 현실이라면 꽤 충격적인 이야기라고 생각이 된다.

 

결코 무겁지 않은 성(性)의 이야기.

하지만, 결코 가볍게 역사의 배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많은 영향을 주었던 성(性).

 

말그대로 성이라는 단어를 역사적 사건으로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는 책이다.

많은 시각으로 보게 되는 책이다. 이 또한, 한 국가뿐만 아니라 옛 그리스 신화라든가 미국의 대통령들의 연대들도 나오게 되며 정말 다방면 다국적 시각으로, 여러시대의 눈으로 볼 수 있다.

역사 속의 아슬아슬한 이야기.

한번쯤 접해보고 싶은 이야기들이 아닐까? 역사 이야기는 이미 옛날의 일들을 들춰내는 데에서도 재미를 느낀다. 이 책도 그런 한 부분의 일화로 읽게 된다면 재미있게 한번쯤을 읽어보아도 좋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 그 후 - 10년간 1,300명의 죽음체험자를 연구한 최초의 死後生 보고서
제프리 롱 지음, 한상석 옮김 / 에이미팩토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죽음, 그후..

 

죽음 그 다음에 삶이 과연 있을까.. 나의 경우에는 천국이든 사후세계이든 저세상이든.. 여러단어로 불리는 죽음 이후의 세계를 믿는 사람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과연 어떤 곳을까.. 하는 생각은 아무리해도 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는 도중 죽음, 그후라는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죽음이라는 단어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두렵고 무서운게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임사체험'이란 '누군가가 죽거나 죽임을 당할 수 있었지만 살아남아서 육체적인 생명을 계속 이어나가는 사건이 벌어지는 동안 일어나는 의식적인 모든 인지체험'이라는 뜻이었다.

10여 년이 지난 뒤에 무디 박사는 다시, 임사체험이 대해 '사망 시점에서 특정인에게 일어나는, 본인이 의도하지 않았던 심오한 영적 사건'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p.41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죽음을 결심한 사람이나 이제 막 죽음을 경험하려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임사체험.

이 임사체험을 통하여 조금이나마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 보고서를 쓴 책이다.

말그대로 죽음체험자를 통하여 밝혀내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보고서.

적절한 여러사례들을 통하여 죽음 이후의 세계를 차근차근 알게 되는데 중요한건 1,300명의 죽음체험자를 연구한 보고서인데 대부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는 것이다. 이것을 보면 정말 죽음 이후의 세계가 존재하여 모두 이 공통적을 갔다는 그런 생각이 들어서 좀더 신빙성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 또한, 믿고 있었지만 제대로 알 수는 없었는데 이 책을 읽으므로써 죽음 이후의 세계의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의 지은이는 죽음 체험에 대해서 12단계로 상황을 나누어 이런 공통적인 상황에 접한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체이탈을 처함하고, 모든 감각이 예민해지며 감정이나 느낌이 긍정적이 된다. 그리고 터널을 들어가거나 통과하고 빛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죽은 사람들을 대부분 만나게 된다. 그 존재는 대부분 친척이나 가족. 친구인 경우도 있다. 경우의  따라 삶을 회고하는 경우도 있으며 비현실적인 영역을 접하기도 한다. 그리고 특별한 지식을 습득하면서 자의나 타의로 몸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기적적인 치유능력이 생기기도 한다.

 

"죽음은 어제의 우정과 내일의 재회를 연결하는 별빛 찬란한 다리다."    p.170

 

임사체험을 통하여 사람들은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된다. 자신이 미쳐 깨닫지 못하거나 기억하지 못했던 일들도 기억하게 됨으로써, 삶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며 다른사람이 보기에 전혀 다른 사람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임사체험이 사람들의 삶의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수있게 된다. 그리고 어렸을때 임사체험을 한 사람이 커서도 이 사항에 대해서는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죽음이 끝이 아니며 그 후에도 놀라운 세계가 존재한다."            p.221

 

죽음 대체적으로 두려움을 상징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죽음이라는 자체도 그리 두려워할일이 아니라는 사실이 느껴진다. 아직 제대로 이렇다! 하게 두려움이 사라지는건 아니지만, 임사체험을 통한 사람들은 그 상황에서 자신의 몸에 돌아가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즉, 그 세계에 있는 것을 더 좋아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평안하고 포근한 마음을 가진다고 한다.

그러니, 죽음에 대해서 일면의 긍정적인 면을 보고싶다면 추천해보고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