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볕을 뜻하는 화양이라는 수도권 도시에서 발생한 빨간 눈 괴질,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사람과 개를 오가며 무섭게 전염되며 잠복기도 없이  발병하자 마자 바로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

그럴싸한 병명을 붙이기도 전에 눈에 불이 켜진 것 처럼 핏빛으로 변해 죽고 마는 무서운 병.

그로인해 화양은 폐쇄되고 아무도 출입할 수 없는 도시가 되어버린다.

정부 폐쇄도 모자라 그곳을 탈출하려고 행진하는 사람들을 살해한다.

그리고 그 곳에서 일어나는 무서운 일들,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차마 읽기가 겁나는 이야기들.

생필품은 동이 나고 가게는 약탈당하고,  개가 병을 옮긴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자식처럼 기르던 개들을 버리고, 그리고 정부에서는 그 개들을 산채로 매장을 한다.

작가는 사람도 매장하고 싶었던 것을 참았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봤다.

인간성을 잃어가는 사람들 속에서 늑대개 링고와 스타의 사랑은 아름답게 느껴지기도 한다.

 

작가는 등장인물에 대해 조금의 자비심도 없다.  영화였다면 행복한 결말로 보이려고 타협을 했겠지만 작가는 그것을 원치 않는 것 같다.  그리고 희망을 품는 것을 허락하지도 않았다.

최초 발병자를 구조하러 갔던 한기준의 부인을 개에 물려 죽게 하고, 아기도 죽어버린다.

그리고 응급실에서 네 만 할줄 알던 간호사 노수진은 강간을 당하고 아버지의 죽음을 알게 되면서 죽음을 맞이한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갈 곳이 없어져 돌보던 아이 역시 박동해가 지른 불로 죽고 만다.

그리고 서재형은 한기준과 링고의 대치상황에서 링고에게 물려 죽게 된다.

 

백신에 대한 이야기는 일언반구도 없고, 상황은 계속 최악으로만 흐른다.

그럼에도 실제로 이런 무서운 일이 생긴다면 상황이 이보다 더했지 덜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작가가 독자에게 희망을 철저히 뭉개버린건 현실을 직시하라는 걸로 받아 들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내가 느끼고 있는 평화가 아주 사소한 것으로 결딴 날 수도 있고, 난 분명히 착하게 죄짓지 않고 살았지만 불행은 언제나 내 앞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이처럼 무섭고 잔인한 이야기가 내내 이어지지만 책 속에 빠지지 않을 수 없다.

소용돌이에 휘말린 배처럼 침몰하는 기분이 책을 읽고 난 후에도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 책이 너무나 자극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자신이 만든 세계에 데려가고 싶다던 작가의 의도는 대성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