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란 아이 ㅣ 창비청소년문학 50
공선옥 외 지음, 박숙경 엮음 / 창비 / 2013년 5월
평점 :
올해 중학교3학년인 아니는 책을 참 좋아했었는데, 중학교에 가더니 많이 읽지 않는 것 같다.공부양도 늘어나고 중학생이 읽기에 적당한 책이 많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중학생이면 어른들이 읽는 책이나 거의 같이 읽기는 하지만 청소년의 감성을 잘 살린 그런 책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봤다.그런점에서 보면 파란아이는 참 반가운 책이다. 청소년 문학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유명작가들의 작품을 한 권에서 만날 수 있으니 여러 가지 반찬이 잘 차려진 밥상과도 같은 것 같다.그리고 일곱 작가의 작품이 모두 다른 맛을 지니고 있어서 더욱 책 읽는 맛이 날것이라고 생각된다.
공선옥 [아무도 모르게] 집은 불타고 엄마는 알고 지내던 아저씨를 찾아 서울로 오게 되는데, 그 아저씨란 사람은 이미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고 없었다.뭐 이런 경우가 다 있을가 싶다. 자기가 책임지지도 못할말을 왜 하는 것일까.엄마는 이삿짐 트럭을 운전하는 아저씨의 고향으로 다시 차를 돌렸다.그리고 지금 민수는 자신이 살아온 날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하고, 홀로 회상에 잠기며 조금 전의 자신과 지금의 자신은 다른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때가 있는 것 같다. 아무도 모르게 자신도 모르게 찾아오는 그때.
구병모 [화갑소녀전] 어쩌면 안데르센의 동화에도 이런 잔혹성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구병모의 화갑소녀전에서는 좀 더 그 잔혹함이 진화한 느낌을 준다.추위와 배고픔에 떠는 성냥팔이 소녀가 화광 공장으로 들어가는 과정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산업화의 과정에서 우리 소녀들이 직접 겪었을지도 모르는 일들이라는 생각이 들어 더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그리고 지금도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산업현장에서 재해로 죽어가는 많은 사람들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김려령 [파란 아이]선우는 방학이 되면 할머니와 함께 보낸다. 선우를 '은결'이라고 부르는 할머니와 죽은 누나의 이름도 선우였다.엄마는 누나가 선우가 되어 다시 왔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의 입장에서 죽은 아이를 잊지 못하는 애잔함은 이해하지만, 죽은 아이와 지금 살아있는 아이를 동일시하는 엄마의 상처를 빨리 치유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선우는 은결이도 아니고 선우도 아닌 다른 이름으로 살겠다고 한다. 배명훈 [푸른파 피망] 푸른파 행성에 전쟁이 일어났다. 그들은 평소에는 자유스럽게 살았지만 다른 쪽에 속해 있었는데 그걸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전쟁이 일어나면서 서로 접근할 수 가 없었다,그리고 보급이 제때에 되지 않아 고기만 계속 먹던지 채소만 계속 먼던지 하던 생활을 하다가 아이들의 화해시도로 음식을 나눠 먹으며 전쟁의 기운을 물리치고 행복해진다는 이야기다.역시 화합이 중요하다는 것.
이현 [고양이의 날] 고양이가 되어 고양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게 된날.도시 고양이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꼭 사람이 살아가는 것과 같다. 사람 사는 모양을 고양이의 삶에 맞췄겠지만..어미 고양이의 새끼를 일부러 궁지에 몰아 넣으며 나무에 오르게 하고 그 동안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한다.언젠가 자식을 떠나 보내야 하는 부모의 마음은 모두 비슷한 것이 아닐까.
세상에 상처 받지 않고 무탈하게 살아가면 좋겠지만 수 없이 상처 받고 다치며 던 단단해지는 것이 아닐까 싶다.
전성태 [졸업]
우리가 중학교를 졸업하던 때에도 산업체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아이들이 있었다.고작 16살, 지금 내 아이와 같은 나이의 아이들이 밤낮으로 일하고 공부를 해야하는 것이다.소년의 풋풋한 마음과 매일 아침 일기를 쓴다는 아이의 이야기가 신선하게 느껴졌던 작품이다.
최나미 [덩어리] 1학년 일곱 반 중에 유일하게 여자로만 이루어져 있는 1학년 7반. 실제로 이렇게 하는 학교는 없다고 생각된다. 여학생이 많은 만큼 나머지 반에 골고루 채우면 쉬울 것을 일부러 이렇게 문제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처음에 완전 불쌍한 존재처럼 여겨지던 7반은 반장의 주도로 단합을 잘하고 재미있게 지내는 반으로 지내게 되는데, 학교 게시판에 7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고발해 오는 글이 올라오면서 아이들은 분열하게 되고, 그 전에도 겉돌던 한 아이가 범인으로 몰리게 되는데, 실제로 그 글을 올린 사람은 따로 있다는 당사자의 말에도 아이들은 여전히 그 말을 믿지 않는다.이런 일은 우리 사회에서 너무나 자주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 인터넷의 세상에서 한 덩어리가 되어 같은 편이 되지 못한 쪽을 몰아부치고 비난하고...아이들의 세계에서만 일어나고 있는 일이 아닌 우리 사회의 문제를 제대로 이야기 해주고 있는 소설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