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얼굴 팝니다 푸른숲 어린이 문학 29
선자은 지음, 김무연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턴가 얼굴이 착하다. 몸매가 착하다 라는 표현을 자주 보게 되는데, 얼굴이나 몸매가 착하다는 말은 예쁘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쁘다 와 착하다가 동의어가 된 것이다.  예쁜것이 착한것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우리 사회의 외모지상주의 때문일 것이다.

실력보다는 외모가 뛰어난 사람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 사람들에게 그런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연예인들이 멀쩡한 얼굴을 뜯어 고치고 뼈를 깍아 예뻐진 얼굴을 보면서 많은 보통 사람들이 나도 저렇게 수술을 하면 예뻐 질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에게 더 인정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는것이 지금의 사회이다.

 

이 책에는 평소 자신의 얼굴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단비가 자신의 얼굴을 버리고 예쁜 얼굴을 얻게 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짝꿍인 혜지는 반에서 제일 예쁜아이로, 단비는 못생긴 아이로 뽑히게 되고 아이들은 그런 둘을 공주와 시녀로 부른다.

혜지가 단비가 친하게 지내는 이유가 단비와 있으면 자신의 외모가 더 예쁘게 보이기 때문이라는 친구들의 말도 단비는 속이 상한다.

그런데 우연히 보게 된 반짝 반짝 얼굴가게에서 단비는 마음에 드는 얼굴을 얻을 수가 있었다.

얼굴이 달라졌지만 사람들은 예쁘게 변한 단비의 얼굴이 원래 그렇게 예뻤던 것처럼 생각하게 되지만, 부모님은 예전과 똑같이 단비를 대한다.

예쁜 얼굴로 변한 단비는 반에서 새로운 공주로 대접을 받게 되고 공주 노릇이 점점 익숙해 지게 된다.

단비가 예쁜 얼굴을 얻는 조건으로 한 숨을 세 번이상 쉬면 안된다고 했는데, 단비는 처음에는 얼굴이 예뻐지면 한 숨 쉴 일이 없을 줄 알았는데, 예뻐진 단비에게도 한 숨 쉴 일은 계속 일어나게 되고, 단비에게 주어졌던 거울의 별은 다 사라지고 말았다.

단비는 자신의 얼굴을 아무도 못 알아보게 될까봐 겁이 났고 다시 반짝 반짝 얼굴 가게를 찾아 가게 된다.

그리고 그 곳에서 버려진 자신의 얼굴을 만나게 된다. 주인은 말한다.  원래 얼굴을 완전히 깨버리면 지금 얼굴로 평생을 살 수 있다고 가수 아리는 본명인 미영이의 얼굴을 버리고 가수 아리의 얼굴을 택했지만, 단비는 원래 자신의 못 생긴 얼굴을 버릴 수가 없었다.

 

외모가 또 하나의 경쟁력이 되어 버린 시대에 외모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맞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외모 만큼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내면이다.  내면을 갈고 닦지 않은 사람은 외모가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인정 받지 못하고 단비처럼 따돌림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외모를 아름답게 만드는 노력 만큼 마음도 예쁘게 가다듬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