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의 달리기 푸른숲 역사 동화 7
김해원 지음, 홍정선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수는 전국소년체전에 참가하는 육상나주대표로 뽑히게 되었다.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은 아버지때문에 항상 마음 아파하시는 할머니는 누구 보다 기뻐하셨고, 시계수리공인 아버지도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달리기를 잘하는 명수가 자랑스러웠다.

명수와 체전에 나갈 아이들이 합숙하는 곳은 여인숙이었는데, 명수를 다크호스라 부르는 박코치와 김감독님과 함께 열심히 훈련도 하고 몰래 만화방에 갔다가 걸려서 혼나기도 하면서 아이들은  실력을 다져나간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대회날이 다가오는 5월의 어느 날 명수와 같은 방에 있는 아이들은 거짓말을 하고 광주시내 구경을 나섰다 무서운 광경을 보게 된다.

데모를 하는 곳에 가게 된 아이들은 매케한 최루탄 때문에 눈물 콧물을 흘리다 젊은 사람들에게 무참하게 몽둥이를 휘두르는 군인들과 마주하게 되는데.. 아이들은 분명히 우리나라 군인이 아니라 북한에서 온 군인일거라는 생각을 하고 합숙소에 돌아오게 된다.

그 후 데모는 더 심각한 상황이 되는데, 공수부대라고 불리는 군인들이 시민들에게 총을 쏘고 광주는 고립 되고 만다.

장날에 명수를 만나러 오겠다던 아버지는 오시지 않았고, 아버지의 친구가 명수를 찾아 오는데, 아버지의 친구는 명수 아버지의 죽음을 전한다.

 

1980년 5월 그때 내 나이는 지금 5학년인 우리 아이보다 더 어렸을때였다.

광주에서 그렇게 엄청나고 무서운 일이 일어났지만 우리는 아무것도 몰랐었다.

그 후로도 많은 시간이 지나고 언론을 통해 알려졌을때 비로소 알게 되었다.

십여년에 흘러서야  그 일을 알게 되었던 많은 국민들은 사진이나 영화를 통해 그 사건을 되짚어 보면서도 그 때 그 무서운 일을 당했을 사람들이 아픔이 어떠했을지는 가늠하기 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오늘 오월의 달리기라는 책을 읽으며 마음이 또 무너져 내렸다.

국민을 지켜야할 군인이 무고한 시민들을 총칼로 죽이고 발로 짓밟은 일을 어떻게 상상할 수 있을까?

그 일을 당했던 광주의 시민들의 처참함은 말할 것도 없지만 상부의 명령으로 그런 짓을 해야만 했던 군인들은 지금 정상적인 삶을 살고는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위 진압을 명령했던 사람은 대통령이 되었고 권력을 휘두르고 비리를 저질러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 법의 심판을 받았지만 사형이 무기징혁이 되었고 그마저도 특별사면이 되어 풀려났다. 그리고 엄청난 추징금은 내지 않고도 잘 살아가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 정의가 살아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5.18은 그 이름부터 폭동, 광주사태 등으로 불려지다 지금은 민주화 운동으로 불려지고 있는데, 아무 죄 없이 죽어간 사람들에게 지금 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과 앞으로 살아가야할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아가야 할 것인지 마음이 무겁기만 하다.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는 처음 알게 되는 아이들도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가 이런 사람들의 죽음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값진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