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째 나라 높새바람 30
김혜진 글.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쓴 판타지 소설을 읽으며 드는 생각은 작가의 대단한 상상력에 대한 경외감이라고 할까?

보통 사람들의 상상으로는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 책 속에서는 영화 화면처럼 이야기가 흘러 간다.

작가의 역량이 뛰어날 수록 그 느낌은 더 실감나게 다가오기 때문에 촘촘하게 짜여진 판타지 소설을 읽는다는 것을 또 다른 세계를 여행하는 짜릿한 기분이 든다.

열두째 나라는 완전한 세계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다. 

이 책을 읽기 3편의 이야기를 미리 읽어 보는 것이 더욱 좋겠지만 이 책을 먼저 읽더라고 연작의 느낌 보다 단행본으로도 훌륭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생각은 앞에 세 이야기도 꼭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의 두께가 어린이용으로 나온 책으로는 아주 두껍기 때문에 아이들이 약간의 두려움(?)을 가질 수도 있겠지만 시험 끝내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멋진 판타지의 세계에 빠져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꿈의 사막에 살고 있는 공중도시의 아이. 참

참이 아기였을때 꿈의 사막으로 왔지만 부모님은 돌아가시고 참만 남았다.

날개가 있지만 나는 법을 몰랐던 참은 공중도시로 돌아가야 한다.

그런데 날지 못하는 참이 공중도시에 가는 방법도 꿈의 사막을 나가는 법도 알지못했는데, 참의 친구인 명이 참과 함께 꿈의 사막을 나가겠다고 한다.

명은 꿈의 사막을 나오면서 소망상자 하나를 가져 나온다.

꿈잣는이는 소망상자를 가질 수 없는데 명이 가져 온 소망 상자는 불의 나라 아이것이었다.

참과 명이 소망상자에서 이어지고 있는 꿈의 실을 따라가다가 건축도시 사람 시야, 별꽃 나라 사람 오디센, 산나라 사람 뮬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참과 명이 꿈의 사막에서 왔으며 명이 꿈잣는이라는 것과 존재 하지 않는다고 믿었던 불꽃 나라 사람의 소망 상자를 가지고 있다는 말에 놀라면서도 동행할 것을 약속한다.

꿈의 실의 따라 참과 명 시야탐험대 일행은 빈땅이라는 황무지에 도착하게 된다.

꿈의 실이 빈땅에 닿아있기 때문이었다.  그곳에서 빈땅왕이라는 사람이 군대를 만들고 왕궁을 지으며 광물을 캐서 다른 나라에 팔고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는 사람은 아닌듯 보이는 돌난장이라고 불리는 이들이 있었는데, 명이 가진 소망상자의 꿈의 실이 그 돌난장이 에게서 나오고 있었다.

소망상자 속에는 너무나 괴로워하며 살려달라는 외침이 들렸다.

 

이 이야기는 판타지이면서도 아이들에게 꿈에 대해 이야기 하는 그런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망, 희망, 꿈 비슷한 말들이지만 아이들도 이런것들을 가슴에 품고 살지 않는 것이 요즘 현실이다.

이 책 속에서 참이 날 수 있는 방법은 희망을 가지는 것이었고, 열리지 않던 공중도시의 문을 연 것은 문지기 참이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문을 열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지만 눈앞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재미있는 마법에 세계를 보고 난 느낌이다.

초등 고학년 부터 어른들이 읽어도 아주 재미있는 그런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