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꽃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조선 여성3부작의 두 번째 책이다.

첫 번째가 채홍이었는데, 세종의 며느리였던 세자빈 봉씨의 동성애를 소설화 한 것이었고, 이 책도 시대적 배경은 고려말에서 세종에 까지 이르는데 세종에 의해 단죄되어진 강상죄, 요즘말로 하자면 간통죄를 저지른 반가의 부인 유씨에 대한 이야기다.

강상죄를 저지른 두 사람, 조서로와 유씨에 대한 처벌은 많이 달랐다.

조서로는 파직되어 유배를 가는 것으로 끝이 났지만 유씨는 사흘간 저자에 세워두게 하고 참수를 시켰다.

세종이 후일에 그 판결이 너무 가혹했다고 생각했다고 하는데, 그 당시 조선에서 여자와 남자의 차별이 어떠했는지 쉽게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김별아의 책 중에 읽어 본 것이 미실이었다.  미실은 드라마를 통해서도 많이 알려졌지만 김별아의 소설 속 미실은 정말 놀라운 여자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그 책 속에서 미실만 그러했던것이 아니었던 것을 보면 그 당시 신라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미실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행동도 어느 정도 용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부모를 잃고 먼 친척뻘 되는 집에 얹혀 살게 된 아이, 불구덩이 속에 부모와 동생을 한꺼번에 잃고 자신만 살아남은 아이,

그로인해 이름도 나이도 말도 잊어버리고 살고 있는 아이에게 푸른 구슬이라 부르는 아이가 있다.

친구가 없었던 서로에게 녹주는 친구가 되어 주었고, 다른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했던 그에게 다른 세상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게 된다.

서로의 외할머니인 청화당은 개성 상인의 딸로 자신과 자매나 다름없었던 친구의 손녀인 아이를 아껴줬었다.

그러던 청화당이 죽고 세상은 변하고 나라에는 새왕조가 들어섰다.

새나라는 새로운 도읍으로 이주를 했고, 개국공신인 조반 역시 한양으로 이거를 하게 되는데, 청화당의 딸인 이씨 부인은 자신보다 친구의 딸을 더 귀해하고 칭찬했던 어머니가 미웠고, 그 딸의 딸인 녹주마저 싫었는데, 서로가 녹주가 뱀에 물린 것을 보고 독을 빨아낸 사건 이후에 녹주를 한양에 데려가지 않기로 결심하고 암자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녹주와 서로는 평생을 잊지 못하는 밤을 보내게 되고 영영 이별을 하게 된다.

풋사랑이었고 첫사랑이었지만 그 사랑이 영원히 잊지 못하는 사랑이 될 줄 그때 알았을까.

세월은 흘렀고, 서로는 장가를 가고 아이를 낳고, 녹주는 암자에서 마음을 다스리며 살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짧은 만남이 있었다. 서로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녹주가 문상을 하게 되는데, 녹주와 서로는 짧은 만남을 뒤로 하고 헤어지게 된다.

그 후 녹주는 환속하여 암자에서 살아가던 중 이귀산을 만나게 되는데, 녹주를 보고 한 눈에 반한 이귀산의 후처가 되어 녹주는 암자를 떠나오게 되는데, 이 일로 서로와의 만남이 다시 이루어지게 되고, 두 사람은 불구덩이속에서 자신을 태우며 꽃을 피우게 된다.

 

2013년 현재에 녹주와 서로가 있었다면 어떤 상황이 될까?

남편을 둔 유부녀와 고위 관료의 부적절한 관계, 그것이 세상이 알려지게 되면 이들은 처벌을 받게 될 것이지만, 목숨을 빼앗을 만큼 중대한 죄는 아닐 것이다.

두 사람에게 어떤 사연이, 세월이 있었는지 사람들은 관심이 없다. 그냥 선정적인 내용으로 도배되는 기사의 내용만이 기억에 남을 뿐일 것이다.

녹주와 서로가 지금 만났더라도 두 사람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는 크지 않다.

신분과 남녀의 차별이 극심했던 그 때 보다 오히려 자본과 권력의 차이로 사람을 가르는 기준은 더 깊어졌다고 해고 무방할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의 짧은 한 줄에서 얻어낸 실마리로 두 사람의 아픈 사랑을 엮은 작가의 상상력도 놀라웠고, 긴 세월 동안 서로를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두 주인공들의 삶이 안타까웠고, 비극이 될 줄 알면서도 그 사랑에 자신을 밀어넣었던 녹주의 삶이 너무나 가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