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 위의 아이들 ㅣ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6
브록 콜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처음 몇 페이지를 읽고서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어찌할 바를 몰랐었다.
장난이라고 생각하기엔 너무도 끔찍해서 아이들이 어떻게 이렇게 잔인한 행동을 할 수 있는지 믿어지지 않았다.
소설일 뿐이라고 스스로 위로 하면서도 현실에도 무수히 일어나고 있는 아이들간의 왕따나 폭력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우리 사회를 생각하면 소설이 소설로만 생각되어 지질 않았다.
여름캠프에서 흔히 해오던 전통(?)에 의해 아이들 중에 왕따의 대상이 되거나 못난 아이들을 고트라고 불렀고(요즘 아이들 말로 표현하면 찌질이 정도로 해석하면 좋을 것 같다) 캠프에 온 아이들이 고트가 된 아이의 옷과 모든 소지품을 뺏어 버리고 무인도에 버려두고 가버린다.
그 무인도에 알몸의 소년은 혼자 남았다. 그런데 그 섬에 또 다른 고트가 있었다.
소녀 역시 알몸 상태였고 둘은 그 아이들이 돌아오는 것을 보고 섬에서 헤엄쳐 탈출을 하게 된다.
이때 어른인 나라면 그 캠프에 있는 선생님께 알려서 부모님께 연락을 해달라고 하고, 자신을 그렇게 만든 아이들은 신고해야 맞는데, 소년과 소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알몸의 아이들은 빈 집에 들어가서 통조림을 먹고 버려진 옷을 입고 그 장소를 벗어나려 했다.
그리고 엄마에게 전화를 건 소녀 역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말하지 않는 것을 보고 나는 충격을 받았다.
왜 이 아이가 엄마에게 사실대로 말하지 못할까.
만약 내 아이가 이런 상황에 빠져 있는데 내 아이가 엄마에게 그 상황을 정확하게 말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 복잡한 마음이 들었다.
소년의 부모는 고고학자여서 터키에 가 있어서 소년을 데리러 올 수 없었고, 소녀는 엄마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말하지 못해 엄마가 데리러 오는 주말까지 기다려야 될 상황에 처하고 말았다.
그 후 엄마에게 캠프에서 연락이 갔지만, 아이들은 사라진 뒤였다.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세상에 적응을 해나간다. 다른 캠프이 아이들을 만나 도움을 받기도 하고 남의 물건을 훔치기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춘기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로서 마음이 무척이나 아팠다.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들이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많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내 아이에게 저런 상황이 닥친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싫은 일이다.
만약에 이런 상황에 빠지더라도 주변의 사람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얘기할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일이 우리 아이들에게 일어나지 않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