몹시도 수상쩍은 과학 교실 와이즈만 스토리텔링 과학동화 시리즈
서지원 지음, 한수진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아이에게 제일 좋아하는 과목이 뭐냐고 물었더니 과학이라고 대답한다.

과학이 왜 재미있냐고 물었더니 그냥 재미있단다. 

우리 아이가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는 어렸을때 부터 과학에 관련된 책을 많이 봤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든다.

주로 만화책이었지만 아이가 좋아하는 책이어서 그냥 읽게 내버려 두었던게 아이가 과학을 어려워하지 않고 좋아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도 있는 반면에 과학이라는 과목을 싫어하고 어려워 하는 아이도 많이 있을 것이다.

이런 아이들이 과학을 좋아하게 하려면 우리 아이처럼 쉽고 재미있는 과학책을 먼저 읽어보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번에 읽은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 교실이 제격인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초등 3,4학년을 대상으로 만든 이 책은 동네에 생긴 수상한 과학학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이 아이들에게 전달하는 과학이야기는 몇가지 되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많은 내용을 이야기 해주고 아이들이 소화해주면 좋겠지만 우선 과학의 기본 부터 전달해주고 아이들이 서서히 흡수할 수 있게 도와주면 좋을 것 같다.

 

아로네 옆집으로 이사온 수상한 가족들, 사자만큼 큰 고양이, 큰머리에 리본을 단 여자아이, 그리고 좀 이상하게 생긴 아저씨

아로가 이 수상한 집에 가면서 부터 지루했던 과학이 재미있어지기 시작한다.

고체, 액체, 기체 무엇인지는 알지만 정확히 설명하지는 못했던 과학용어를 제대로 알아가고 이상한 쿠키와 케이크으를 먹고 몸이 고체로 변하기도 하고 액체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한살이 상자를 통해 생명체의 한살이에 대해 배우게 되고, 자연의 놀라운 섭리에 감탄하게 된다.

곤충의 경우 애벌레의 모습과 성충이 되었을때 모습이 아주 다른데, 이것이 자연의 섭리라는 것이다.

애벌레와 성충이 같은 먹이를 먹게 된다면 당연히 애벌레가 경쟁에서 뒤쳐지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애벌레가 성장하지 못하고 죽게 되면 자신들의 종족이 사라남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당연하게 보였던 것에 위대한 자연의 법칙이 존재하고 있다니 놀랍고도 기특한 것 같다.

밖에서 보면 2층 건물인데 집에 들어가면 엘레베이터가 있고 교실,집,땅,하늘,물,E 이렇게 6개의 버튼이 있었다.

공부균 선생님이 교실외에는 누르지 말라고 했는데 호기심 많은 아로가 하나씩 눌러보게 된다.

 

책 표지에 2012우수문학도서라고 인쇄되어 있는데, 책을 읽어보면 참 재미있는 과학책이라는 생각이 들고 아이들이 쉽게 과학을 접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과학은 어렵지 않은 것이고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과학의 일부분이라는 것도 알려주고 있는데, 저학년 아이들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