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 - 제5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43
김이윤 지음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주인공 여여는 미혼모 가정에서 자랐다. 여여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빠의 얼굴을 한번도 본적이 없는, 이야기 또한 들은 적 없다. 아빠에 대해 물어보면 엄마가 해주는 말은 너의 아빠를 진심으로 사랑했었다는 말뿐, 그 어떤 말도 여여의 아빠가 누구인지 알 수있게 하진 않는다. 그리고 그걸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갑자기 불치병에 걸려서 시한부인생을 살고 있는 엄마. 그리고 대기업의 임원이자 자신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는 아빠. 여여는 참 절망적인 상황과 부닥치고 있다. 그것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엄마의 병으로 다친 마음을 조금씩 낫게해주던 남자친구와의 이별까지. 모든 상황이 여여에게는 참 절망적일 것이다. 자신의 딸인줄도 모르고 다른 여자와 그 여자사이에서 낳은 아이와 걸어가는 뒷모습을 보는 여여의 마음. 그 또한 참으로 아플것이다. 하지만 여여는 조금 더 밝게 살려고 노력을 한다. 밝게 당당하게 살라며 햇빛같은 삶을 살라며 이름을 지어준 엄마를 위해서. 그리고 그런 엄마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의 일기장에 조금씩 쓴다. 그리고 엄마가 만들어준 카레를 먹으면서 슬픔에 젖기도 하고 또,요양 중 갑자기 집으로 올라온 엄마에게서 포착한 죽음을 보며 슬픔에 젖기도 한다. 하지만 여여는 좀 더 꿋꿋하게 살아간다. 그러던 와중 여여는 엄마가 위독하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여여는 황급히 엄마에게 가고, 외삼촌과 함께 엄마에게 가면서 엄마에게 미안했던 일을 생각한다. 그리고 갑작스럽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죽지 않을 것같던 엄마가 죽음을 맞는다. 모든 것이 여여에게는 두려움일 것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일찍 겪지않은 두려움도 여여는 누구보다 일찍 겪는다. 엄마의 죽음 후 여여는 다시 평범한 여여의 삶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여여의 삶은 다시 시작된다. 하나의 두려움에 인사하며,

책을 읽으면서 마음이 먹먹한 순간이 많았다. 그리고 먹먹함을 만든 그 힘은 슬픈 상황 덕도 있지만 그것을 차분히 진행하는 작가의의 실력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어려운 상황에서도 힘을 내며 내일을 걷는 여여의 모습을 차분히 진행해나가면서 힘든 순간은 나중에 지나보면 아름다운 삶의 흔적으로 남는다는 메시지 도한 전한다.

자신의 삶이 어떻게 나아갈지않은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살다가 어려운 일과 마주칠 때, 자신에게 맞닥친 그 순간을 이겨내면서 아름다운 삶의 흔적으로 남기는 것은 어떨까하고 생각해본다.

열여덟살 여여에게는 녹록한 일이 분명 하나도 없다. 하지만 여여는 자신의 고민을 친구와 공유하며 또 엄마의 동생이 삼촌과 상처를 조금씩 치유해나갈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