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 아저씨네 빵가게 ㅣ 인성의 기초를 잡아주는 처음 인문학동화 1
김선희 지음, 강경수 그림, 황희경 도움글 / 주니어김영사 / 2012년 1월
평점 :
인성의 기초를 잡아주는 처음 인문학 동화 [공자 아저씨네 빵가게]
이 책은 아이들에게 인문학을? 하는 물음과 함께 요즘 인문학인 대세이긴 한데 어떻게 아이들에게 논어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인가하는 의문을 한 방에 잠재운 책이다.
그 이유는 책이 재미있다. 어른들도 지겹고 재미없고 어려운 책은 읽기가 싫은 법인데 하물며 아이들은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이 책은 책장을 넘기자 마자 이야기에 쏙 빠져든다. 공자와 논어에 대해 전혀 모르는 우리 아이도 재미있게 읽었다.
논어에 나오는 말을 주제로 몇가지 단원으로 이야기가 만들어져있다.
아이들은 동화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논어를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2,500년이나 지난 공자의 가르침이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공자 아저씨네 빵가게는 주인공 환희와 빵가게 주인으로 변한 공자 아저씨다.
환희는 얼마 전 까지만해도 넉넉하게 살았지만 아빠의 사업실패로 지하 셋방에 살고 있고, 형과 자신을 살뜰하게 보살펴 주시던 할머니는 치매에 걸려서 사물을 분간하지 못하는 지경이 되었다.
급식비도 제때 내지 못해서 점심을 굶은 환희가 동네에 새로 생긴 빵가게 앞을 지나가는데, 그 빵가게는 빵을 하루에 일곱 개만 만들어서 판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우연히 만난 빵가게 주인 아저씨는 환희에게 만들다가 망친 빵을 먹어 보고 맛을 평가해달라고 했다.
환희는 아저씨네 빵을 먹어 보고는 처음에는 무슨 맛인지 잘 느끼지 못했지만 씹으면 씹을 수록 고소하고 특별한 맛이 나는 빵이라는 생각을 했다.
환희는 빵가게에 매일 가서 빵을 먹으며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 하고 빵가게 아저씨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학교는 그냥 남들이 다 가니깐 가는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공부의 즐거움을 알게 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사랑하고 위해 줄 줄 아는 마음도 배우고, 친구에 대해서 그리고 효도에 대해서도 깊히 생각할 줄 아는 아이로 변해갔다.
공자는 동양철학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우리나라가 조선시대에는 유교사회였기 때문에 공자의 가르침을 더욱 따라야 했었고, 지금은 그때에 비해서 모든 생각이나 생활방식이 간소해졌고 자유스럽지만 공자가 대중들에게 얘기하고자 한 기본만은 지키고 살아야겠다는 마음이다.
내가 하기 싫은 일은 다른 사람에게도 권하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친구간에 우애있게 지낸다면 이 세상 살아가는 일이 얼마나 행복할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