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려라 지하도시 ㅣ 만화로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2
이한율 글, 서석근 그림, 김문겸 원작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5월
평점 :

열려라 지하도시는 학습만화로 볼 수 있다.
지하도시 탐험을 나선 과학홍보대사 원리,단풍,천재의 모험 이야기가 재미있게 펼쳐져 있다.
학습만화의 특징은 재미와 정보를 함께 한다는 점이다.
그런점에서 열려라 지하도시는 집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준다는 점에서는 100점을 주고 싶다.
아치형동굴과 네모난 입구의 동물을 시작으로 신석기시대의 움집, 동양의 건축구조,서양의 건축,현대 건축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여러 가지 많은 집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이야기가 아이들을 집중하게 만든다.
지하도시가 있을까하는 호기심으로 출발하여 동굴을 지나 나타난 사막과도 같은 곳에 치치가 혼자 집을 지키고 있다.
원래는 두 부족이 사이좋게 살았는데, 물이 부족해서 지금은 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것이다.
그 아이가 혼자사는 집은 움집과 비슷한 모양으로 들소의 한방으로 무너져 버린다.
원리,단풍,천재는 치치가 살 집을 지어 주기 위해 여러 가지 집에 대해서 생각한다.
여기에서 집의 여러 가지 형태와 집이 하는 역할 등 집에 대한 많은 정보를 쏙 빨아들인다.
그래야만 치치에게 멋진 집을 지어 줄 수가 있을 테니깐 말이다.
집을 지으면서 우리 나라의 온돌에 대해서도 배우고, 천연냉장고 였던 석빙고도 알게 된다.
이렇게 멋진 집을 지었는데, 사라졌던 치치의 아빠가 북쪽마을 사람들과 함께 나타났다.
북쪽마을 추장을 어린 치치에게도 총을 들어 치치의 엄마가 사는 남쪽 마을 사람들과 싸우라고 명령한다.
치치와 아이들은 아빠의 도움으로 북쪽마을 사람들에게서 빠져 나오게 되고, 남쪽마을 사람들이 사는 곳으로 향한다.
북쪽마을 사람과 남쪽 마을 사람이 싸우게 된 원인은 물이 부족했고, 살아가야할 땅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지하도시 사람들은 현명한 해결책을 찾아내서 모두가 행복해 지는 결말을 찾을 수 있었는데, 미래의 우리가 사는 도시의 모습은 지금과는 많이 달라질 것이다.
책 속에는 미래의 지상,지하,해상,우주도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곧 현실이 될날이 멀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조금은 부족한 것이 있더라도 서로 돕고 합리적인 해결점을 찾아 볼 수 있게 생각 해 보게 하는 과학만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