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드 한국사 6 - 조선의 건국과 발전 역사로드 한국사 6
김승민 글, 문성기 그림, 페이퍼100 기획,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타임주니어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역사로드 한국사는 고조선 부터 현대사회에 이르는 우리 역사를 만화로 공부할 수 있게 만들어진 책이다.

6권은 조선의 건국과 발전으로 조선이 건국되는 과정, 조선의 빛나는 문화와 과학, 유교국가의 신분 질서,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상등이 들어있다.

그리고 같은 시기의 중세유럽의 생활도 나와 있기 때문에 한국사와 더불어 세계사도 함께 공부할 수 있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조선을 건국하게 된 배경과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궁궐을 짓는 과정에서 4대문을 만들게 된 배경이 나와 있다.

이성계가 임금의 자리에 올라서 조선이라는 국호를 사용하지 않고 고려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었다는 사실이 눈에 띄었다.

이성계가 조선의 임금이 되어서 세자자리의 다툼으로 왕자의 난이 일어나게 되고, 이방원이 형제들을 죽이고 자신이 정종의 뒤를 이어 임금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임금의 자리에 오른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에 힘썼고 그 뒤를 이은 세종이 임금의 자리에 올랐을 때 비로소 문화와 과학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세종은 집현전 학자와 함께 백성들이 글을 읽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훈민정음을 만들게 된다.

지금은 이렇게 훌륭하게 쓰이고 있는 우리글이지만, 그 당시에는 우리만의 문자를 만들어 쓴다는 사실이 중국에 나쁘게 비쳐질까 걱정을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양반들은 한글을 언문이라고 낮춰 불렀고 여자나 일반백성들만이 훈민정음을 사용하였지만 후세에 이르러 한글로 쓴 소설이 널리 익혀지고 많은 백성이 사용하게 되자 한글은 진정한 우리글로 대접을 받게 된다.

세종시절에는 문화 뿐 아니라 과학에도 큰 발전이 있었던 시기였다.

장영실 등 여러 과학자로 하여금 앙부일구, 자격루, 혼천의, 간의대 등 여러 과학발명품을 만들게 하였으나 장영실은 임금의 총애를 입어 천민에서 정4품의 관직에 까지 올랐으나 임금의 어가가 부서지는 사고로 인해 그의 삶은 역사 속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국대전과 영국의 대헌장의 비교는 참 좋았다.

경국대전에 나와 있는 주요 법률 중에 산전후 휴가를 주는 것이 나오는 것도 신기했으며, 현재의 법과도 크게 동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놀라웠다.

그리고 영국의 대헌장은 국민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왕이라도 제멋대로 할 수 없게 시민들이 만든 법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귀족과 상공업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런 내용을 아이들에게 읽으라고 한다면 너무 어렵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만화를 보면서 읽으라고 한다면 저절로 책의 내용이 머리에 들어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본다.

6권의 5학년 1학기 사회교과서와 바로 연계된다고 하니 미리 살펴보면 사회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