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꽃 분교에서 벌어지는 재미있는 소동을 그린 삼식이 뒤로 나가! 책 제목 과는 달리 삼식이 보다는 까마귀 가욱이가 주인공처럼 보이기도 한다. 초롱꽃 분교에서 발견된 황조롱이 한 마리로 인해 학교에서는 폐교될지 모르는 위기감으로 생태 과학 특성화 학교로 만들려 하면서 다른 새도 학교에서 길러 보자고 한다. 까마귀 가욱이가 우연히 그 이야기를 듣고 가욱이가 다니는 학교 참꽃분교의 올빼미 교장 선생님께 사실을 알리게 된다. 참꽃 분교도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였지만 지금은 폐교되어 새들의 학교로 변했다. 올빼미 교장선생님은 초롱꽃 분교 교장선생님을 만나 담판을 짓겠다고 푸르죽죽 울퉁불퉁 열매를 먹었다. 그 열매를 먹은 올빼미 교장선생님은 사람들이 하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이었다. 초롱꽃 분교에 온 올빼미 교장선생님은 초롱꽃 분교 교장선생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학교에 새 둥지를 만들지 않고 학교 둘레에 새 둥지를 두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으게 되었다. 그런데 삼식이는 새를 보기만 하면 새총으로 다 쏘아 버린다. 삼식이가 그러는데는 이유가 있었다. 새들이 삼식이네 농사를 다 망쳐서 형,누나 학비 걱정에 엄마가 엉엉 우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자연환경과 인간과의 공존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새들이 말을 하기도 하고, 인간이 뿌려놓은 독이 든 콩을 먹고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한다. 가욱이는 마법 열매을 먹고 투명해지기도 하고, 올빼미 교장선생님은 어떤 수수께기를 가지고 있을까하는 호기심도 들게 한다. 사람과 새들이 함께 잘 살아 갈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아이들은 정답을 찾아 낼 수 있을까?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양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