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 윤리학 - 난감한 철학적 질문을 명쾌하게 풀어 주는 ㅣ 명진 어린이책 19
율리아 크놉 지음, 카트리나 랑에 그림, 김세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왜? 라고 물어보는 것은 아이들의 특권이다.
그 물음에 대답할 말을 찾지 못해 헤매는 부모는 힘겨울 뿐이지만, 내 아이의 왜 그렇지 하는 물음은 당연하면서도 아이다움의 표현이다. 하지만 간단한 물음인 것 같지만 의외로 철학적인 물음을 던져 올 때가 있다.
"엄마 착한 게 뭐에요?" 10살 아들의 물음이다.
음...착한 건...그냥 착한게 아닐까? 참 어이없는 대답이지만 뚜렷한 답변이 떠오르질 않는다.
서론이 길어졌지만 어린이 윤리학을 읽으면서 이런 대답을 속시원히 해 준다는 것이 정말 좋았다.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에게도 교육적이지만 이 책은 어쩌면 어른들이 꼭 읽어야 되는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세상을 살면서 도덕적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 인간이었는지, 내 아이의 물음에 떳떳하게 대답해 줄 수 있는 도덕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인지 나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가끔 아이들이 학교나 다른 곳에서 친구와 다투고 오거나 몸에 상처를 내고 오는 일이 있다.
그럴때 부모들은 너무 속상한 마음에 왜 맞고만 있었니 너도 때려주지 라는 말을 뱉어 버릴 때가 있다.
아이의 말은 거의 대부분 "그 애가 먼저 때렸어~~"그 말을 하는 이유는 그 애가 먼저 때렸기 때문에 내가 그 애와 싸운 것은 잘못이 아니라고 항변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럴때 부모가 그 애가 먼저 때렸다고 해서 같이 싸우게 되면 너의 잘못이 없어지는게 아니라는 것을 정확히 알려 주어야 한다.
어린이 윤리학에서는 왜 그래야만 하는지, 왜 그렇게 되는지 이유에 대한 명확한 답변이 있다.
아이의 윤리성을 키워주는데도 도움이 되겠지만, 세파에 찌든 부모들의 윤리성을 다시 세워주는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이들의 생활윤리 뿐 아니라 조금 더 철학적인 문제, 선과악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공부를 왜 해야만 하는지에 대해서도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고 있다.
그리고 자연환경과 우리 사회,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도 실려있어서 자신만 아는 요즘 아이들이 남을 배려할 줄 알고 지구의 환경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를 배울 수 있는 멋진 책이다.
몸만 자란다고 어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이 자라야 어른이 되는 것이다.
우리아이가 훌륭한 정신을 지닌 멋진 어른으로 성장하기 바란다면 이 책으로 윤리성을 키워 주라고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