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에 한 번씩 나를 찾아 오는 에세이스트는 이번호는 36번째 3,4월호이다.
책을 펴면 제일 먼저 읽게 되는 글은 김베로니카님의 글이다.
농촌에서 사람들이 푸근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현재의 농촌 현실을 가감없이 글에 담아 표현하고 있어서 잘 몰랐던 농촌사정에 대해 알게 해주는 글이었다.
이 번달에는 '교감'이라는 제목의 글이다.
구제역때문에 방역에 여념이 없는 상황에서 소와의 교감을 주제로 글을 적고 있다.
소 울음 소리만으로 무슨 이유에서 울고 있는지 알아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젖 먹이 어린 송아지 3마리를 어미에게서 떼어냈다가 송아지들이 스트레스를 받아 3마리가 한꺼번에 죽었었다고 한다.
그때 송아지를 치료할 수 있었던 것은 사랑이지 밧줄 아니었다는 직관이 들었지만 마음을 닫아버렸다고 한다. 
그 결과 송아지들은 모두 스트레스성 폐렴으로 죽고 말았다.
사람과의 교감도 힘이 드는 일인데, 동물과의 교감은 더욱 어려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마음을 연다면 동물과의 교감도 충분히 가능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호에는 2010년 올해의 작품상 10편이 선정되어 있다.
얼마전 의미있게 읽었던 김베로니카님의 낙동강변 사람들도 수상작품에 들어있었다.

그리고 문제작가 신작특집의 류여하님의 표류기에는 결혼이야기 드라마가 적혀 있다.
드라마라고 표현한 이유는 서울에서 대구까지 선을 보러 내려갔더니 선을 볼 사람은 이미 장가를 들고, 동생이 대타로 나와 있더란다.   기가 막힐 노릇이었지만 동생과 선을 보면서 그 동생에게 그다지 나쁜 인상은 아니었는데, 다시 만나게 된 그 동생과 결혼을 했다는 이야기이다.
신혼초 군위 산골의 사과 과수원에서 신행인사를 하러 와서 5주 동안 과수원에서 사과만 땄다고 하니 드라마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
그리고 내 안에 애 있다는 스트레스 때문에 뇌경색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자신을 이야기 하고 있다.
시집살이는 누구나 겪는다고 하지만, 그 스트레스가 적절히 해소되지 못하고 쌓아두다 보면 그것이 병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에세이를 읽다보면 글쓴이의 삶에 내가 들어가있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이 있다.
시집살이를 하는 글을 보면서 어떻게 그렇게 살았을까.. 베트남에서 시집 온 나이 어린 여자이야기를 보면서 왜 그 어린 나이게 아버지 뻘 되는 남자에게 시집을 온 것일까.. 글쓴이의 마음이 동화되어 책을 읽어 가다보면 글쓴이의 감정을 그대로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월평에 보면 공감의 서사, 휴머니티의 감동이라는 평이 나온다.
에세이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 그것은 사람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