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를 사랑한다는 건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은 소설 보다는 에세이로 유명한 작가로 알고 있다.
그래서 그의 사랑소설 완결판이라는 너를 사랑한다는 건에 대한 기대가 무척 컸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 번도 알랭 드 보통의 글을 읽어 본 적이 없었기에 유명작가의 소설을 읽어 본다는 것 자체로도 흥분이 되었다.
너를 사랑한다는 건을 짧게 말하라고 하면 이게 소설일까? 
소설이라는 정체를 가지고 있는 에세이라고 하는게 맞을 듯 싶기도 하다.
서장에서부터 그의 나열하는 듯한 글쓰기에 주눅이 들어 읽기 시작한 것 같다.
책 속에서 전기에 대한 이야기와 사랑하는 여자 이사벨의 전기를 쓰기로 하고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 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 이 책은 모호한 경계에서 읽은 사람이 혼돈을 느끼기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실존인물인듯한 사진까지 실려있어서 이 작가는 왜 이런식으로 소설을 쓸까 하는 의구심을 계속 들게 한다.
중간 중간 나오는 도표를 보면서 그의 특이한 글이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것이 알랭 드 보통의 유머일까?  이사벨에 관한 도표와 사진 그림들을 보면서 이사벨의 전기를 쓰는 ’나’는 그녀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싶어한다.
사랑이라는 것이 그런 것일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모든 것을 알고 싶어하는 것. 그것이 사랑의 당연한 증상이다.
여기서 나는 사랑의 당연한 증상을 그녀의 전기쓰기로 조금은 특별하게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요즘 베스트셀러로 뽑히는 책을 주로 보면 책 내용이 영화화면처럼 펼쳐지는 소설들이 많이 있다.
그런 소설에 익숙한 한 사람으로서 알랭 드 보통의 소설은 진짜 책이라는 느낌이 완전히 든다.
화면을 보고 있는것이 아니라 글을 읽고 있다는 느낌이 너무도 정확히 드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알랭 드 보통의 글은 달콤한 사탕맛을 느낄 수 있는 글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꼭꼭 씹어 먹다보면 고소하고 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는 밥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꼭꼭 씹지 않으면 그 맛을 느낄 수 없으니 읽는 독자들은 반드시 꼭꼭 씹어서 알랭 드 보통의 글을 읽어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