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염병 - 대유행으로 가는 어떤 계산법
배영익 지음 / 스크린셀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 표지의 얼음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몰랐었다.
전염병이라는 책 제목에 어울리지 않는 얼음덩어리는 무엇일까 하는 의문이 생겼다.
요즘 구제역 때문에 나라가 떠들썩하고 조류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 등 겨울만 되면 기승을 부리는 전염병들이 늘고 있다.
이 책에는 인간에게만 전염되는 탈출바이러스라고 이름 지어진 치사율 100%에 가까운 전염병이 확산되는 과정과 바이러스의 침입에 본연의 인간성을 잃어버리고 바이러스의 지배를 받게 되는 인간들의 참상을 그리고 있다.
스크린셀러라는 것이 영화의 원작소설을 일컫는 말이라고 하는데, 이 책도 영화화를 목적으로 쓰인 책인지 책의 전개가 영화 화면을 보는듯한 섬세한 묘사와 상세한 설명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북태평양에서 조업하던 원양어선이 냉동실의 고장으로 북극의 유빙을 냉매로 삼아 명태를 저장하게 된다.
하지만 그 유빙 속에는 인간에게만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엠바이러스가 숨겨져 있었다.원양어선은 국내로 돌아오던 중 이유를 알 수 없이 침몰하고 선원들은 단 두 명을 제외하고 전몰한다.
그 두 명 중에 한 명이 엠바이러스의 숙주이자 항체를 지닌 어기영이었다.
어기영이 입국 후 그를 만난 사람들은 모두 시신으로 발견되고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어기영을 쫓게 된다.
어기영에게서 엠바이러스의 항체를 만들게 되지만 곧 엠바이러스의 변이종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고, 바이러스는 급속도로 확산되게 된다.
환자는 점점 늘어가며 환자들은 자신의 본성을 잃어버리고 바이러스를 퍼뜨려야만 항체를 가진 사람을 확인 할 수 있다는 이상한 계산법으로 전염된 환자들이 바이러스를 더 퍼뜨리도록 유도하기에 이른다.
윤규진은 서민정의 도움으로 천신만고 끝에 백신을 개발하지만 백신의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항체를 가졌던 김성호의 이야기로 자신이 백신이 아닌 박테리아를 주입받았다고 이야기 한다.
8월에 시작되어 10월 까지 단 두 달 만에 몇 십만 명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고 죽어가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작년에 신종플루 때문에 전 세계가 혼란에 빠졌던 때가 생각이 났다.그 만큼 전염병이라는 것이 무섭고 이야기 소재로서는 아주 매력적이기도 하다. 이 책이 영화와 된다면 아주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일반인들이 좀 더 쉽게 빠져들게 만들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생각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