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3반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전경빈 옮김 / 창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체불만족]의 작가 오토다케 히로타다의 첫 장편소설 괜찮아 3반은 읽으면서 불쑥 불쑥 흘러내리는 눈물 때문에 난감했고 감동적이라는 표현도 부족하게 생각될 만큼 큰 울림을 주는 작품이었다.

이 이야기는 오토다케가 3년간의 교사생활을 바탕으로 만든 작품이어서 소설이라기보다는 오토다케의 실제이야기를 보고 있는 느낌이다.

우리나라에 팔다리가 없는 선생님이 일반학교에 교사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아직 듣지 못했는데, 일본에서도 이런 경우는 드물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토다케여서 가능한 일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오토다케를 떠올리면 휠체어 위에 앉아있는 장애인이라는 느낌보다 활짝 웃고 있는 그 얼굴이 먼저 떠오르는 것을 보면 오토다케라는 사람 자체가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라고 생각된다.

 

괜찮아 3반은 아카오 신노스케라는 팔다리가 없는 장애인이 초임교사로 발령을 받아 5학년 3반의 담임을 맡게 되며 1년간 5학년 3반에서 일어나는 몇 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그 속에서 일어나는 아이들과 선생님들 간의 아름다운 이야기가 담겨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겪게 되는 심리적 갈등을 초보교사인 아카오선생은 2반 담임인 곤노선생님께 자문을 구하기도 하고, 보조교사이자 그의 친구인 시라이시에게도 도움을 받으며 문제들을 해결해 나간다.

아이들에게 최고의 자리보다 최고의 자리에 가기위한 과정의 기쁨을 맛보게 하기 위해 달리기시합에서 모두 이기면 머리를 깎겠다고 공언을 하고 직접 아이들에게 머리를 깎이게도 하고, 물을 무서워하는 아이를 위해 자신도 팔다리가 없어 물을 무서워하면서도 5미터 수영을 성공시켜 아이가 물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게 만들어 주기도 한다.

가을 소풍에 등산을 가게 되어 아카오선생이 가지 못하게 될까봐 아이들이 직접 교장선생님께 소풍계획서를 작성하고 아카오 선생이 소풍을 갈 수 있게 등산코스를 조정하기도 하며 아이들과 아카오선생은 서로를 도우며 성장해 나간다.

 

오토다케 특유의 싱그러운 느낌과 아이들과 선생님사이의 뭉클한 정이 느껴지는 소설이어서 읽으면서 정말 마음이 따뜻해지고 행복해지는 소설이었다.

아카오 선생은 모두가 다르니까 모두가 좋다는 말로 5학년을 마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한 마디로 깨주는 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장애인은 그냥 다른 사람일 뿐이다.

불편한 사람이 있다면 불편하지 않은 사람이 도와주고 서로가 도움을 받으며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하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