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양에서 서울까지 - 수도의 생성부터 현재까지 ㅣ 파란마을 5
원시인 글.사진 / 파란하늘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한양에서 서울까지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책이다.
조선이 왕조를 세우게 되면서 도읍지가 된 서울의 역사가 한 권에 담겨져 있다.
책의 내용은 1부 한양-500년 역사의 시작, 2부 위기의 수도, 한양,3부 대한민국은 지금 어디로? 라는 부제에 맞춰져 서울의 변화를 상세히 설명 해 준다.
고려 말 이성계가 역성혁명으로 정권을 잡게 되고, 도읍을 옮길 것을 계획하고 적합한 장소를 찾던 중 한양이 적당하다는 판단에 궁궐을 만들고 성곽을 만들어서 도읍을 옮기게 된다.
한양이 도읍지가 될 수 있었던 조건은 국토의 한 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수륙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이었다.
한양을 통과하는 4대문의 이름을 유래를 보고 나니 유교 이념을 문에도 넣었던 섬세함을 느끼게 되었다.
인의예지신이라는 유교 덕목에 맞춰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 그리고 4대문의 중앙에 설치된 보신각이라는 이름을 지었던 것이다.
그후 조선은 궁궐의 더 증축하고 나라의 규모를 다져가던중 조일전쟁, 조청전쟁으로 영토는 피폐해지고 궁궐은 불타게 되고 만다.
조일전쟁 당시 임금이 도성을 버리자 성난 백성들이 궁궐에 불을 질렀다고 하니 자기 목숨을 위해 백성을 버렸다는 것에 백성들이 얼마나 큰 배신감을 느꼈는지 알만하다.
그 때 불탄 경복궁은 몇 백 년 동안 복원되지 못하고 고종 때에 이르러 복원이 된다. 하지만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리던 때에 궁궐 중건공사를 시행했으니 그 피해도 고스란히 백성들의 몫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고종의 여러 가지 시도도 무위로 돌아가고 나라는 강제로 일본에 합병되게 되어 우리의 궁궐은 처참하게 파괴되고 만다.
그 당시 수많은 국가의 보물이 일본으로 넘어갔고 오구라 가케노스가 얼마나 많은 우리나라의 보물을 가져갔는지 개인의 컬렉션이 거의 국보의 수준에 이른다고 하니 잃어버린 우리 문화재를 찾는 일에도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의 패망후 우리나라는 독립을 하지만 곧 민족 간의 전쟁에 휩싸이며 힘든 시기를 보내게 된다.하지만 우리 국민의 노력으로 UN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변모하며 세계적으로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 책은 한양이라는 도읍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속의 서울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상세하게 알 수 있는 책이다.
책의 두께에 비해 알찬 정보와 이야기가 들어 있어서 아이들의 역사교육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책 중간 중간에 중요한 팁들이 들어있고 중요문화재에 대한 설명까지 덧붙이고 있어서 더욱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