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제 - 700년의 역사, 잃어버린 왕국!
대백제 다큐멘터리 제작팀 엮음 / 차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있다.
삼국시대에서 승리한 국가는 신라였기에 고구려나 백제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현실에서 백제를 새롭게 만나게 해주는 책이 있다.
SBS와 대전방송이 제작한 대백제라는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만들었다.
700년 역사의 잃어버린 왕국 대백제를 책으로 만나보는 특별한 경험인 이 책은 백제에 대한 기록이 많이 부족한 현실에서 참 반가운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다큐멘터리는 5부작으로 만들어진 작품인데 책에서도 5장으로 나누어 백제에 대한 다양하고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알려 주고 있다.

백제라는 나라는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받아들인 것은 곧 자신들의 것으로 승화시킬 줄 아는 민족이었다.
불교를 받아들이는 것에서 신라는 수많은 순교와 10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지만, 백제는 왕실에서 나서서 불교를 받아들여 자신들만의 토속신앙과 연계하여 백제만의 불교를 만들게 된다.
그것은 자신감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자신의 문화에 자신이 있지 않고서는 다른 문물을 쉽게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통해 본 백제는 나라를 한 마디로 표현하기가 어려운 나라였다.
문화, 예술, 기술력 등 모든 면에서 앞서 나갔던 대국이었다.  이런 나라가 어떻게 그렇게 무너지게 되었는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백제를 생각하면 일본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은 백제의 모든 문화를 다 받아 들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그 동안 우리가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깊이 백제가 일본의 문화를 지배했다는 것을  알 수 가 있었다.백제의 왕자가 일본의 왕이 되었고, 불상을 만드는 기술, 제철술, 의복, 음악 등 모든 것을 백제는 일본을 통해 받아 들였다는 것이 이 책 속에 자료와 함께 나와 있다.
오사카에는 19세기 까지 백제촌이란 지명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신라에 패망한 백제인 들이 일본을 망명지로 택하여 오사카에 정착해서 살았다는 것이다.  아직도 일본 속에 있는 백제의 자취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그리고 백제의 기술이 놀라웠던 점은 백제의 아비지가 만든 신라 황룡사9층 목탑은 무려 높이가 80m이었다고 하니 과연 그 기술력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다.
그 외에 일본의 칠지도를 만든 백제의 제철술, 탑에 보관되어 온 사리장엄구, 금동대향로, 금속공예 기술 등은 백제가 기술대국이었음을 알게 해 주는 대목이었다.

화려한 문화와 기술을 자랑하던 백제가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백제의 혼은 사라지지 않고 우리의 기술력으로 일본의 문화에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 해 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