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나아줌마가 들려주는 아프리카 옛이야기
씨나 믈로페 지음, 조선정 옮김, 레이첼 그리핀 그림 / 북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씨나 아줌마가 들려주는 아프리카 옛이야기는 화려한 책표지와 책 속의 그림이 아름답고 인상적인 책이다.

화려한 색채의 퀼트와 아프리카의 자연환경, 아프리카의 악기, 아프리카에만 있는 특색 있는 문양, 아프리카의 화려한 색을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책은 페이지를 넘길 때 마다 원색의 강렬한  아프리카 특유의 느낌을 물씬 느낄 수가 있어서 좋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은 옛이야기답게 우리나라의 전래동화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래동화가 그러하듯이 이 책의 내용도 권선징악을 주제로 한 것이 많이 있다.

아프리카의 8개 나라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 나라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 혹은 구전동화를 씨나 아줌마가 모아서 만든 책이다.

 

사실 우리는 아프리카라고 하면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너무 먼 거리감 때문에 아프리카와 그 사람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과 신비를 가지고 있는 곳이 아프리카라고 생각이 된다.

최근 방송에서 보이는 아프리카는 나라나 부족 간에 전쟁 때문에 손에서는 총, 칼을 놓지 못하고 먹을 물이 없어 흙탕물을 마셔야 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 책 속에는 아프리카의 옛이야기와 신화 같은 이야기를 읽다보면 아프리카에도 이런 옛이야기가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속에는 나미비아의 이야기인 파도에 떠내려갔던 소녀가 약초를 가지고 돌아와 자신을 낳아준 부모를 치료해 준다는 [파도소녀 놀완들]

음악과 춤을 놀이 이상으로 생각하는 나라 말라위의 이야기 [마코시와 마법의 뿔]은 상당히 재미있는 이야기였다.

가뭄으로 온 동네 사람들과 가축들이 죽어가자 마코시는 흰 소를 타고 삼촌이 사는 곳을 찾아 가는 길에 흰 소의 뿔이 마법을 일으키며 결국에는 부모와 마을 사람들을 구한다는 이야기이다.  어디선가 많이 들어 본 이야기 같기도 한 것이 우리나라 옛이야기와 상당히 닮아 있는 것 같다.

하늘과 닿은 왕국이라는 별명의 가진 레소토 이야기 [마실로와 마실로냐나 형제]이야기는 아프리카의 특이한 문화와 권선징악이 잘 표현된 재미있는 이야기 이었던 것 같다.

스와질란드의 스와지족에게는 사냥이 꼭 필요한 것이었지만 무분별한 사냥으로 많은 동물들이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여기에 나온 이야기는 [위대한 사냥꾼]이라는 이야기인데, 뛰어난 사냥꾼인 맵케니가 임팔라를 사냥하다 우연히 바오밥나무 아래의 세상을 다녀 온 후 사냥을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임팔라는 지하세계의 왕자였지만 밖으로 나올 때는 임팔라로 변신하였는데 맵케니의 화살을 맞고 죽게 된다.

지하세계를 방문 한 후 맵케니는 다시는 사냥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그 후 스와질란드 사람들은 임팔라를 아주 귀하게 여겼다는 이야기 이다.

 

이 책은 아프리카를 그냥 하나의 땅덩어리라고 생각하고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민족이 살고 있는 땅이라는 의식을 못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우리나라가 있는 아시아도 여러 민족과 나라에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아주 기본적인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이 책을 계기로 아프리카를 좀 더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이 책을 읽는 아이들과 부모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코시 코시 이야펠라(자 이제 나의 이야기를 마치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