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밥상 - 밥상으로 본 조선왕조사
함규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밥상으로 보는 조선 왕조사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내용의 왕의 밥상

이 책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조선 왕들의 밥상을 통해 살펴본 왕들의 성격과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을 알 수 있는 책이다 라고 하고 싶다.

2010년 조선일보 논픽션대상의 대상수상작이라는 사실이 책 앞머리에 있는데도 몰랐었다.

책을 읽다 보니 이 책 꽤나 흥미 있고 재미있네 라는 생각이 들어서 앞뒤로 살펴보니 대상을 받은 작품이었다.

조선 왕조사를 밥상을 통해 풀어 나갔다는 점이 무척이나 신선했다.

조선 왕조에 대한 이야기는 드라마를 통해서도 많이 방송되어 왔다.

드라마가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없기에 옛날의 왕들은 어떤 음식을 먹고 살았는지, 그 시대 상황은 어떠했는지 이 책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다.

첫째 장은 조선왕이 수라상을 받는 모습을 재현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수라를 준비하는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장금이로 유명한 궁녀였을까? 아니면 남자 요리사인 숙수였을까?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궁녀가 수라를 준비한 것으로 알고 있다. 역시 드라마의 영향이기도 하고, 고종황제 시절에 커피에 독을 넣은 사람이 숙수였었기에 고종황제가 숙수가 준비하는 수라를 멀리하고 궁녀가 준비하는 수라를 받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래 전의 기록이 남아있지 않고 근래의 기록을 미루어 보아서 이렇게 생각해 왔던 것 같다.

두 번째 장으로 넘어가면 역대 왕들의 수라를 비교하고 있다.

왕의 밥상은 밥을 넘어서 정치적인 도구로 사용되어져 온 것을 알 수 있다.

자연재해나 질병 등이 생기면 왕은 감선이나 철선을 하였다고 한다.  반찬의 수를 줄이거나 밥상을 줄이고, 고기반찬을 빼서 국민의 고통을 나누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감선이나 철선이 왕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던 적이 많은 것으로 책에는 적고 있다.

조선시대 역대 왕들이 제일 좋아한 음식은 무엇이었을까?

책을 읽어나가다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다. 폭군 연산군이 무척이나 좋아했다던 사슴꼬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연산군이 물러나고서 중종이 임금의 자리에 오른 뒤, 연산군이 폭정을 하던 때와 달리 하고는 싶으나 연산군시절 연회에서 먹었던 사슴꼬리의 맛을 잊지 못해 그 후로도 진상하는 것을 물리치지 않았다고 한다.

 

역대 왕들의 죽음에는 음식과 관련된 것들이 무척이나 많았다.  음식에 독을 넣어서 왕을 암살했다는 이야기는 많은 왕들에게 있어 왔었다.

왕의 몸이지만 항상 신하들의 눈치를 살피기에 바빴던 왕들의 스트레스가 심했을 것이다.

왕들도 왕노릇 해먹기가 여간 힘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을 풀어줄 것이 밥상이 되어야 하는데, 조선시대 왕의 밥상에는 정치적인 요소가 너무나도 강해 오히려 밥상이 왕의 수명을 누르는 결과를 가져온 적도 많았다.

그것을 이긴 영조는 83세까지 장수하며 치세를 펼칠 수가 있었으리라.

왕의 밥상은 어렵지 않은 책이라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은 것 같다.

역사책이 딱딱하다면 왕의 밥상을 권해 본다. 딱딱하지 않고 흥미 있는 역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