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안양 학의천 둘러본 환경운동가 제인구달 박사::) “자연은 끈질깁니다. 인간이 노력만 한다면 오염된 자연은 반드 시 복원될 수 있습니다.” 한국을 방문중인 세계적 환경운동가 제인 구달(여·70)박사가 9 일 오전 경기도 안양시 안양천 지류인 학의천을 탐사했다. 구달 박사는 이날 오전 11시 학의천에 도착, 손학규 경기지사, 신중대 안양시장, 환경단체 회원 등과 함께 하천 산책로를 거닐며 한때 죽음의 하천에서 생명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거듭난 생태를 세 심히 관찰했다.
학의천은 10년전까지만 해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농도가 100곥이 넘을 정도로 오염됐으나 하천 상류에 하수종말처리장을 설치하고 꾸준한 정화활동을 펼쳐 현재는 물고기가 살고 수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생태계가 복원된 곳.
학의천을 둘러본 구달 박사는 손 지사와 신 시장 등에게 “돈을 제대로 쓰고 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구달 박사는 “일부 국가에서는 이런데 돈을 쓰지 않고 정말 엉 뚱한 곳에 쓰기도 한다”며 “연간 300일 이상 전세계를 돌아다 니고 있는데 이처럼 생명이 되살아난 모습을 보면 언제나 흐뭇하 다”고 말했다.
구달 박사는 이어 “영국 런던 중심가를 흐르는 템스강도 정부의 강력한 하천정화활동 노력으로 수질이 회복됐으나 홍수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면서 또 다시 오염된 사례가 있다”며 “홍수나 기 타 사고로 인한 오염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 다.
그는 특히 “어린이나 젊은이들이 환경보호를 위해 일할 수 있도 록 해야한다”며 “그것이 바로 내가 추진하고 있는 환경운동의 방법, 즉 ‘모든 생명체에 좀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자’는 ‘ 루츠 앤 슈츠’(Roots and Shoots·뿌리와 줄기)운동”이라고 소 개했다.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구달 박사는 1960년부터 아프리카 탄자니 아 곰비국립공원에서 야생 침팬지 연구를 시작했으며, 1965년 영 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동물행동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77년 ‘ 야생생물 연구·교육·보호를 위한 제인 구달 연구소’를 설립, 세계 각국에서 야생동물보호운동을 펼치고 있다.
안양〓배한진기자 b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