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5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27일 일요일자 Writer's Almanac이 읽어준 시는 

스티븐 도빈스라는 시인, 올해 9월 출간된 위의 시집에서 "Prague"라는 시였다. 



The day I learned my wife was dying
I told myself if anyone said, Well, she had
a good life, I’d punch him in the nose.
How much life represents a good life?


Maybe a hundred years, which would
give us nearly forty more to visit Oslo
and take the train to Vladivostok,
learn German to read Thomas Mann


in the original. Even more baseball games,
more days at the beach and the baking
of more walnut cakes for family birthdays.
How much time is enough time? How much


is needed for all those unspent kisses,
those slow walks along cobbled streets?



아내가 죽을 것을 알았던 날 

누구라도 내게 그녀가 좋은 삶을 살았다 말한다면 

그의 코에 주먹을 날리겠다고 나는 결심했다. 

좋은 삶이라고 부르려면 얼마나 많은 삶이 있어야 하나?


어쩌면 백 년, 백년이라면 

우리에게 사십 년이 더 주어지고 우리는 오슬로를 

방문하고 기차로 블라디보스톡을 가고 

독일어를 배워 토마스 만을 

원어로 읽을 터인데. 야구 경기도 더 많이 가고 

더 많은 날들을 바닷가에서 보내고 우리 가족의 생일 축하를 위한 

더 많은 호두 케익을 구울 터인데. 

얼마의 시간이 충분한 시간인가? 얼마의 


시간이, 하지 못한 그 모든 키스들을 위해 

자갈 깔린 그 길 위에서의 느린 산책을 위해 필요한가? 


*시집의 표지나 제목, 시 자체를 보아도 

이건 키치. 그런데 그렇다 해도 특히 "독일어를 배워 토마스 만을 / 원어로 / 읽을 텐데" 이 구절이 

뜻밖의 생명을 주지 않나. 으흠 으흠 으흠 하다가 응? 하게 되는. 그 구절 하나만으로도 흥미로운 ("interesting" 이 단어를 우리는 깊이 이해해야 한다, interesting한 무엇은 "interests us"라는 의미임을 온전히 이해하자...... 같은 얘기를 한 사람 이상의 문학연구자가 한 것 같은데, 그런 취지에서 "interesting") 시가 된다고 생각했다. 


<두이노의 비가>에 있는 아래와 같은 연: 

Being-here is much, and all this here,

which disappears so, seems to need us and strangely

concerns us. Us, the most disappearing. Once

each, only onceOnce and no more. And we too,

once. Never again, but this

having been once, even if only once:

having been of the earth, seems irrevocable.


이 삶이 우리 각자에게 단 한 번일 뿐임 ("once each, only once"), 이것을 말하는 릴케의 시가 

더 좋은, 우월한 시일 것이다. 그런데 그렇다 해도, "독일어를 배워 토마스 만을 / 원어로 / 읽을 텐데" 같은 

릴케라면 절대 쓰지 않을 구절(토마스 만을 릴케가 사랑했고 원어로 읽고 싶었을 저자 이름으로 바꾼다 해도)도 

우리는 읽고 듣고 싶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간 후 한 일년 동안 7만부가 팔렸고 

그러니 크진 않아도 성공했다할 책, Great Books 저자 데이빗 덴비가 book tv 출연해서 

했던 긴 인터뷰가 유튜브에 있다. 문학 전공 대학원에선 위대한 작가들, 위대한 책들, 중요한 주제들을 

탐구할 거라는 믿음, 혹은 기대가 금가기 시작했던 때 (이렇게만 적으면 덜떨어져 보일 것 같다. 그러나 

그렇다고 "위대한"으로 말하고 싶은 건 무엇이며, "기대에 금이 감"에선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쓰기로 하면, 그것만으로 10개 포스트 써야할지도. 하여튼) 나도 이 책을 구해서 읽은 적이 있다. 읽으면서 

일어났던 한 놀라운 일은, 문장은 그리고 많은 문장들의 합인 책은 정말 저자의 분신이구나, 그의 감성 지성 이념 등등

그 사람을 앞에 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던 느낌. 덴비 그는 위대한 책들에 이끌리는, 그런데 깊이 보수적이고 그래서 상투적인 정신. 비판력 부족한 정신. 





그 후 관심저자가 아니어서 그의 책들을 더 찾아보지 않았는데 

이 인터뷰에서 "당신은 보수인가?" "보수 진영에서 상반된 반응을 당신 책에 보이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같은 질문이 나와서, 음 그러게 참. 그렇구나. 그랬구나. 상태가 잠시 되었다. "파시스트 지식인"은 "영국 요리"처럼 형용모순이라던가, 이글턴이 했던 농담이 있는데 "파시스트 지식인"까지 아니어도 "보수 지식인"도 거의 형용모순 아님? 어쨌든 보수적인 지식인들 중에, 그렇게 여겨지고 싶어하진 않는 이들이 있는 것같고 인터뷰에서 덴비는 "당신은 보수인가?" 질문에 조금 민감하게, 그리고 조금 빠르게 "그렇지 않다. 나는 "클린턴 리버럴"로 나를 규정한다"고 답한다. 


그래도 인터뷰에서 그는 책보다 더 재미있는 사람. 더 (훨씬 더) 똑똑한 사람. 어쩌면 심지어, 좋은 사람. 

아 새벽 일찌감치 일어나 이런 건 왜 쓰고 있는지 모르겠단 자책이 들려고 하는데, 그의 책을 읽을 땐 있지 않았던 

매혹과 공감의 순간들이 꽤 여럿 있었다. 한국에도 이런 보수 지식인들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떤 점에서 어떻게 좋을까. 

자유. 해방. 이것이 실체로 느껴지게 하는 이들 (내겐, 아도르노 바슐라르 이 두 분이 특히 그렇다), 이런 이들은 아무리 그들이 전통을 수호해도 (아도르노 바슐라르 두 분 다, 서구의 지적 전통 강력한 옹호자들 아닌가) '보수'라 불릴 수 없을 듯. 그런가 하면 그들이 아무리, 어떻게 자유를 찬미해도 공허 혹은 허황하지만, 그러나 전통은 현실로 느끼게 하는 이들 중 좋은 보수들이 있겠다. 좋은 '진보' 지식인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 좋은 '보수' 지식인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 이런 것 생각해 보고 싶다. 


이제 새벽 산책을 나가야겠음. 어제 집에 와서 하도 피곤해 8시도 되기 전에 자고 

2시 되기 전에 깼다. 새벽의 몇 시간은 하루 중 가장 좋은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안의 두 사람에게 "사랑"이라는 말을 쓸 권리가 있는, 영예로운 인간 관계는 

연약/섬세하고 격렬한, 그 두 사람 모두에게 두려움을 안기는 하나의 과정이다. 그 과정은 

각자가 서로에게 말할 수 있는 진실들을 정제하는 과정이다. 이 일을 해내는 게 중요한데, 그를 통해 

인간의 자기 망상과 고립이 붕괴하기 때문이다. 이 일을 해내는 게 중요한데, 그를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복잡함에 온당히 그것이 받아야 할 정의를 주기 때문이다. 이 일을 해내는 게 중요한데, 이 어려운 길을 

우리와 같이 갈 것이라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적기 때문이다. 





애드리언 리치도 좋은 글, 문장을 많이 남겼다. 

구글 이미지 검색하면 발견되는 위의 문장들도, 어쨌든 나는 놀라며 읽었던 문장들. 

출전은 이 책이다. <거짓말, 비밀, 침묵에 대하여>. (책 제목 너무 좋지 않나. 그 셋 모두에 대해 알고 싶게 하는 제목). 저 짧은 몇 문장에, 번역에 어려움 안기는 단어, 구절들이 연달아 있다. honorable, delicate, refining, do justice to, complexity. 


<번역불가인 말들의 사전>같은 사전까지는 만들지 못하더라도 

저 사전의 취지와 비슷하게, 한국어로 거의 언제나 번역이 어려운 어휘들에 대해 생각하는 글, 

그런 글 연재된다면 좋을 것 같지 않나. Axt, 이런 데서. 아니면 번역서들을 번역비평하는 계간지나 하여튼 공간이 있다면 그런 데서. 


어쨌든 이것이, "사랑을 정의하시오" 주제로 백일장이라도 한다면 

장원급 아닌가. (음 더 잘 칭송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지금은 아효 그냥 이 정도로). 

진실의 정제. 망상과 고립의 붕괴. 각자의 복잡성을 정당히 인정, 이해. :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인간 관계. 

드물고 어려울 인간 관계. 무덤에서 보낼 영원한 침묵의 시간이 오기 전, "강렬하게 살기"엔 이런 관계도 포함되는 게 마땅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밥 먹으면서 이런저런 위대한 인간들이 남긴 말들 찾아보곤 하는데 

아침 먹으면서 찾은, 디드로가 출전으로 되어 있는 이 말을 오늘의 인용할 양식으로 선택. 

덕불고 필유린. 그 말을 알고 했던 말일 수도? 





내가 인생을 어떻게 견뎠느냐고? 위대한 인간들을 보면서 견뎠다. 

니체의 이런 말에 완전히 공감하면서 견뎠던 대학원 시절. 인생사, 이 징그럽고 지겨운 것. 

슬퍼하고 분노하다가 '심지어 그들도, 그들에게도' 알게 되면 견딜만해지고 힘이 났었다. 디드로로 찾아보니 저런 말도 

찾아진다. "인생, 그것은 망상에 찬 희망에 치르는 대가." 앞뒤 문장들을 보고 싶다. 





실은 볼테르의 말이 아니라는데 

볼테르도 했음직한 말이고, 생각을 하고 사는 사람이면 누구든 하기가 어려운 말은 사실 아니니 

볼테르의 말로 여겨도 좋겠을 이 말. 인문학자를 판단할 때 특히 더 유용하지 않을까. 인문학의 생명이 

여기 있지 않나. 어떤 질문을 하는가. 혹은, 질문하는 능력 그 자체. 질문이 없고, 그렇다고 다른 누군가의 

질문에 대한 답도 아닌, 그런 인문학 논문들이 지금 이 순간 7892편쯤 쓰여지고 있지 않을까. (한숨) 


이건 특히 인문학 전공자들에게서 흔히 보는 "망상에 찬 희망"일수도 있는데

그들이 공부하는 "위대한 인간들" 덕분에, 덕불고 필유린 되는 일. 망상일 따름이라도 

무려 인생이 대가라면, 가질 가치가 있는 망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문학은 여러 분리된 학제들과 그들의 연구 관심, 연구 방법들을 가리키는 포괄적 용어만이 아니다. 

인문학은 신념 조항이기도 하다. 이 말을 쓸 때마다 우리는 암묵적으로 선언한다. 우리는 인류(인간성)에 관심 있다고. 우리의 지적 윤리적 가치들이 인류가 가진 최선을 보호하고 향상한다고. 우리를 더 인간적이 되게 하는 지적 실천을 우리는 하고자 한다고. 


인문학을 공부함이 그 덕분에 사람을 좋은 사람이 되게 하지는 않는다. 

우리의 리더들 중 인문학 전공자들을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다. 조지 오스본은 역사학에, 

보리스 존슨은 고전학에 오명을 주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주는 경고의 이야기들은, 인문학 학과에서 어느 정도 

시간을 보낸 적이 있는 사람들에겐 필요하지도 않다. 인문학 학과에서 시간을 보내면, 우리의 주제가 우리를 더 

좋은 사람이 되게 한다는 주장을 할 수 없게 되고 만다. 인문학은 우릴 좋은 사람으로 만들지 않는다. 


하지만 인문학은 우릴 영원한 학생으로, 평생의 학습자로 만든다. 인문학은 우리가 

도전적 전제들에, 변화하는 문맥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게 만든다. 인문학은 우리가, 설득에 열려 있게 만든다. 

인문학은, 우릴 설득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높은 기준을 유지하면서, 설득에 열려 있게 만든다. 이것이 우리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사라 처치웰이 "인문학의 미래" 주제로 한 강연에서 마지막으로 하는 말들이다. 

"The humanities is also an article of faith, an implicit declaration every time we use the term that we are interested in humanity." 특히 이 문장, 그리고 이어지는 문장들. 듣고 적어두고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 문장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5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