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유아/어린이/청소년>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4월은 8기가 끝나고 새롭게 9기가 시작되어서 정신이 조금 없네요.  

여하튼 9기로 다시 활동하게 되어서 무지 기쁩니다. 

6개월 동안 열심히 활동하도록 하겠습니다.  

매번 신간을 추천할 때면 책이 다 오는 것도 아닌데 정말 행복합니다. 

설레기도 하구요. 내가 고른책이 오면 더 행복하더라구요. 이번에도 아주 기쁜 마음으로 책을 골라 봤습니다. 

피터 시스의 책이고 그 유명한 <마들렌카>가 나오는 그림책이니 정말 궁금합니다.  

겨울에 나와던 <장벽>은 어린이들에겐 조금 어려웠는데 이 책은 마들렌카에 축구가 나오니 분 

명 어린이들이 좋아할 것 같습니다.  

피터 시스의 그림은 입체적이어서 보는 사람이 즐겁습니다.

 

 

 

이 책은 벌써 2011년 칼데콧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이 붙어 있더군요. 칼데콧 수상작을 무지 좋아하는 저로서는 이 책을 당연히 추천하고 싶습니다.  칼데콧 수상작이 실망을 안겨 주는 경우가 드물더라구요.  스토리, 그림을 모두 중요시하는 칼데콧이 선택한 이 작품. 정말 기대됩니다.

 

 

 

솔직히 임석재 란 분을 알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그런 분이 계셨다는 것과 옛이야기를 수집하기 위해 굉장히 애쓰셨다는 것 정도만 알게 되었습니다.  깊이 알려면 이 책을 읽어봐야 하겠죠.

임석재님이 힘들게 수집한 구수한 옛이야기들이 읽고 싶어지네요.  창작동화도 재미있지만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옛이야기들도 아주 재미있더라구요.  살짝 이 책을 펼쳐 보았는데 짤막짤막한 이야기들이 맛깔스럽게 들어 있더군요. 누룽지처럼 구수한 옛날이야기책을 추천합니다. 

 

 

 

서지원 작가님의 <어느 날 우리 반에 공룡이 전학 왔다>를 읽고 그분의 팬이 되었습니다.  사회문제를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접근하여 주제의식이 또렷한 책을 쓰시는 분이라고 생각되더군요. 한 작가에게 꽂히면 그분의 모든 작품을 읽고 싶어지더라구요. 서지원 작가의 새 작품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아/어린이/청소년 분야의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토미 웅거러의 작품이라니 당연히 보고 싶습니다. 그 이름만으로도 작품을 선택하고 싶은 작가 중의 한 명입니다.  

 

 

 

 

 

 

우리나라에선 보기 힘든 인도 작가의 작품이라니 호기심이 생깁니다. 잠깐 미리보기를 보니 전혀 다른 풍의 그림이 눈길을 사로 잡네요. 꼭 보고 싶습니다. 

 

  

                                               

사랑하는 엄마를 한순간에 잃은 소녀가 자신의 슬픔을 삭인 채 아빠를 돌보는 모습을 그린 동화책이라고 합니다. 자신도 슬플 텐데 아빠를 돌보는 딸이라니.. 감동적인 이야기가 기다려집니다.    

 옆반 선생님이 반 아이 중에서 작년에 엄마를 하늘나라로 보낸 아이 한 명이 있는데 갑자기 슬퍼지는 느낌이 든다면서 막 울었다는 이야기를 들려 주셨습니다. 엄마의 죽음은 이렇게 불현듯 휘몰아쳐서 자신도 모르게 슬픔 속에 내동댕이 칠 터인데 어린 소녀가 담담하게 견디는 모습이 어떻게 그려질까 궁금해집니다. 

 

 

 

1962년 뉴베리 아너상 수상작이라고 하니 읽고 싶어집니다. 황금 소년이라는 제목부터 궁금증을 야기시키네요.   더군다나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다니 신비감도 느껴지네요. 

 

 

 

 

 

어제부터 야간 에너지를 절약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가도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고 전기 에너지도 넉넉한 실정이 아닌 것 같습니다.  진작에 절약했어야 하는 전기 에너지인데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나 싶네요. 24시간 동안 켜놓으며 낭비하는 에너지가 얼마나 많을까요? 그래서 이 책이 읽고 싶습니다.

 

 

  

 

루와 린덴이라는 인간과 고양이의 우정을 그린 작품이라고 하네요. 볼로냐 국제 도서전에서 라가치 상을 수상한 작품이기도 하구요. 당연히 보고 싶죠. 표지 그림이 무척 아름답네요.  지난 겨울 300만의 가축을 살처분 한 우리나라로선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인간과 동물의 우정을 그린 작품이라고 하니 남다르게 생각되어집니다.  300만 살처분된 가축들의 영혼은 누가 위로해 줄까요? 우정을 넘어 자식처럼 아끼고 사랑하던 가축들을 묻어야 했던 가축업자들의 아픔은 누가 위로해 줄까요?  인간과 동물도 교감을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너무 무참히 가축들을 몰살시키지 않았나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