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보리 국어사전 - 남녘과 북녘의 초.중등 학생들이 함께 보는
토박이 사전 편찬실 엮음, 윤구병 감수 / 보리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보리 국어사전에 대해 전에 쓴 리뷰가 사라져서 다시 남깁니다. (왜 사라졌는지는 수수께끼······).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첫째, 사전처럼 생기지 않았다. (거부감이 없음)
둘째, 설명이 쉽다. (사전 보고 이해가 됨!)
셋째, 그림이 많다.

단점은
첫째, 그래도 낱말수는 적다. (찾는 낱말은 없더라)
둘째, 발음이 없다.
셋째, 그림보단 사진이 나았을 것도 있다. (그림이 다 비슷비슷한 경우)

초등생 조카에게 사줬습니다. 그런데 언니 말에 따르면, 조카가 모르는 낱말이 나와서 이 사전에서 찾아봤을 때 나온 적이 거의 없대요. 결국 집에 있는 다른 수십 년 된 사전을 찾아본다고 합니다. 실제 생활에서는 이 사전을 만들 때 기준으로 삼은 어린이용 책에 나온 용어만으론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이 사전 하나만 있으면 된다’보다는 ‘이런 사전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갖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모를 때 찾아보는 사전보다는 옆에 두고 책을 읽듯 읽는 용도가 더 잘 어울립니다. 굳이 어린이가 아니어도 어른이 가까이에 두고 보기에도 좋습니다.

나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줬으니가 아마 초판일 텐데 사전에 발음이 없어서 의외였습니다. 지금도 이에 대한 설명이 따로 없는 걸 보면 이후에도 발음이 더해지진 않은 것 같네요. 특수용어 사전도 아니고 그냥 국어사전에서 발음이 없는 건 말 그대로 누락입니다. 그것 때문에 더더욱 국어사전 같은 느낌이 별로 들지 않는 것 같기도 하네요.

어릴수록 제대로 된 발음을 잘 익혀야죠. 요즘 아나운서처럼 애들은 글자 그대로 읽는 일이 많으니까요. 발음이 없어서 별 하나 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올린 교본 1 - 시노자키
세광음악출판사 편집부 엮음 / 세광음악출판사 / 198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올린을 이 책으로 배우고 있는데, 피아노랑 비교해 보면 바이엘 같은 책입니다. 그에 비해 스즈키는 1, 2권 정도까지는 부르크뮐러 같더라구요.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지 않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애들은 몰라도 전 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하지만 바이엘로 피아노 배우는 것보다는 더 어렵네요. 피아노보다 바이올린이 더 어렵기 때문이겠죠.

시노자키 1권 배우면서는 스타카토 부분에서 한 번 막히고 그 다음으로는 16분음표에서 또 막힙니다. 스타카토는 피아노 치는 것과는 다르면서 딱딱 끊기는 느낌을 내는 게 어렵네요. 게다가 자세까지 경직되고. 16분음표는 뭐 빠르게 켜는 게 어려운 거죠. 오른손으로 활을 빠르고 깨끗하게 움직이는 것도 어렵고 왼손을 빨리빨리 짚는 것도 어렵고. 이 책에서는 이 두 군데가 가장 큰 고비인 것 같습니다.

제가 가진 건 10년도 더 된 거긴 하지만 그래도 처음 출간된 때로부터 오래된 건데도 악보에서 오류가 몇 군데 보입니다. 그리고 번역도 일본어를 직역한,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이 군데군데 보여요. 사진이 너무 오래된 것이라서 알아보기 힘든 것도 흠이죠. 하지만 요즘 찍어내는 책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하여튼 그래서 별 하나 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 세계지도책
DK 편집부 엮음, 브라이언 델프 그림, 강미라 옮김 / 대교출판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예전에 포노그래프에서 산 거예요)

서양에서 만든 거라서 아무래도 서양의 관점이 반영될 수밖에 없지만, 한국은 너무 작고 또 적게 표현되었습니다. 아시아 부분 한켠에, 주력 상품도 딱 두 개. 그에 비하면 일본은 두 쪽에 나라 전체가 크게 나오고 각 지방마다 다른 문화 같은 것도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홍보의 힘이 느껴진달까요.

세계 지리나 문화를 대충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이 책에 실린 게 다가 아니라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처럼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왜곡되거나 축소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진 내용이 있을 수도 있다는 걸, 책을 읽는 아이에게 알려주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냥 책만 탁 던져주는 것에서 끝날 게 아니라.

그리고 때가 때이니만큼 '동해'와 '독도'는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물어보는 사람들이 있던데, 책에는 '동해'라고 제대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원서에도 그렇게 되어 있는지 아니면 우리말로 옮길 때 바꾼 것인지는 모르죠.

부록으로 들어있는 세계국기 포스터는 남녀노소 애 어른 할 것 없이 모두 좋아하던데. 저도 책보다는 국기 포스터가 맘에 들더라구요.

책은 인쇄 상태도 좋고 잘 만들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