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앙마이와 치앙라이에서 열이틀을 보냈으니 뭔가 시간의 흔적을 남겨볼까 끄적거린다. 어떻게 쓰겠다는 생각도 고민도 없다. 생각나는대로 그때 그때 때때로 사진 몇 장, 글 몇 줄 써보려고 한다. 자주 떠올려야 여행의 기억도 오래 갈 테니까.

 

 

 

치앙마이의 란나 포크라이프 박물관(Lanna Folklife Museum)에 있는 란나사람들의 전통 옷감 같은데, 저 문양을 보고 깜짝 놀랐다. 에셔가 혹 란나의 후손일까? 하는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란나란 이 지역의 옛날 주인이다. 

 

 

 

에셔의 그림을 가져와볼까나?

 

(출처:daum)

 

 

10월 15일까지 에셔 특별전이 열린다고 하니 잊지 말고 다녀와야겠다.

 

 

 

 

어디서 많이 본듯한 자태...우리나라 한복과 너무나도 비슷하다. 심지어 배래는 요즘 유행하는 직선형이다. 사람들이 어디에 살 건 생각하는 건 비슷한가보다.

 

 

 

우리로 치면 해금되겠다. 과연 동남아 국가 중에 위의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가 있을까? 내가 전에 썼던 글을 베끼면 '중국에서는 얼후, 인도네사아에서는 레밥, 캄보디아에서는 트로우, 타이에서는 소우, 라오스에서는 소이라고 부른단다.' 나라마다 사람은 달라도 악기만은 같은 게 있으니 신기하면서도 다행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7-08-12 0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복과 정말 비슷하네요.
에셔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는 건 nama님 덕분에 알았어요.

nama 2017-08-12 08:24   좋아요 0 | URL
기회가 닿으면 함께 에셔 특별전에 가고 싶어지네요.^^

sablna 2017-08-13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우리나라 해금과 같은 악기가 중국에도 얼후라는 이름으로 존재한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각기 다른 이름으로 동남아 각국에 있어 왔다니 참 신기하네요.
문득, 사람마저 가깝게 느껴집니다.

nama 2017-08-13 16:35   좋아요 0 | URL
라오스에서는 거리의 거지도 이 악기를 연주하고 있더군요. 생활밀착형 악기라고나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