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핀 댄서 - 전2권 - 암살자의 문신 ㅣ 링컨 라임 시리즈 9
제프리 디버 지음, 유소영 옮김 / 노블하우스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 근래 가장 재미있는 추리 소설을 꼽으라면 단연 이 작품을 꼽고 싶다. 오... 뭐라고 말을 해야 할지... 한마디로 대단한 작품이다. 아무래도 <본 컬렉터>를 안 본 독자들은 이 작품을 읽기 위해서라도 봐야 할 것 같다. 아님 이 작품을 먼저 보시던가. 아무튼 안보면 무척 후회하게 되리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추리 소설 가운데 범인과 탐정을 동시 선상에 두고 한 챕터씩 그들을 교차해서 보여주는 형식의 작품들이 있다. 범인은 범죄를 저지르고 탐정은 범인이 남긴 단서로 그를 쫓는다. 이렇게 범죄 소설은 시작된다. 그리고 그들은 클라이막스에서 만난다. 마치 평행선을 달리던 기차가 레일이 겹쳐지는 지점에서 충돌하듯이. 우리는 그런 장면을 보며 환호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코핀 댄서라는 암살자가 등장한다. 누군지 절대 알지는 못하지만 명성은 자자한 암살범. 의뢰받은 사건은 반드시 처리하는 프로 킬러. 어떤 방법이든, 어느 곳이든 안 쓰는 방법이 없고 안 가는 곳이 없고 그러면서 절대 정체가 드러나지 않는 자.
그리고 그에게 이미 자신의 부하를 잃고 다시 그를 잡을 기회를 얻게 된 링컨 라임, 그리고 아멜리아 색스. 그들은 이미 한 명의 증인을 잃었고 두 명의 증인을 보호하는 동시에 코핀 댄서를 잡아야 한다. 절대 단서를 남기지 않는다는 암살자를. 그리고 그들의 증인은 말을 듣지 않는 고집불통으로 자처해서 코핀 댄서의 먹이가 되려 한다.
이 정도라면 많이 봤던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암살자가 나오고 증인보호가 나오고 탐정과 과학 수사가 등장하는 게 뭐 그리 대단할까 싶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링컨 라임의 한계는 기계의 한계와 같다. 또한 그의 한계는 현장에서 그의 지시를 받는 아멜리아 색스와 같다. 두 명의 머리와 한 명의 행동으로 펼쳐 보이는 범인과 숨막히는 한 판의 춤... 이 작품을 통해 링컨 라임이 갖는 한계점에 대해 생각해 본다. 죽기는 참 쉽다. 암살자가 참 잘도 죽이니. 아니 세상은 많은 죽음이 떠돌아 다닌다. 그 만큼 사는 것도 쉬울까. 나는 링컨 라임을 보면서 사는 것도, 죽는 것만큼 쉽다는 걸 배운다.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산다고 했던가.
매는 절대 길들여 지지 않는다고 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매에 대한 이야기는 코핀 댄서를 말하는 것일까. 아님 링컨 라임의 창가에 앉는 매, 그리고 정신만으로 자유로워진 링컨 라임을 상징하는 것일까. 비행사는 하늘을 날아야 하고 프로 킬러는 의뢰받은 살인을 저질러야 한다. 그리고 탐정은 범인을 잡아야 한다. 이 작품을 읽는 마지막까지 절대로 눈을 떼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작가가 눈을 떼게 만들지 않을 테니까. 끝까지, 마지막까지 긴장하시라... 코핀 댄서의 사신의 춤은 이제 시작되었을 뿐이다. 당신이 책을 펼친 지금 막...
한마디로 "와우"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작품이다. 그리고 링컨 라임과 아멜리아 색스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지도 무척 궁금하지 않을까 싶은데... 사실 <본 컬렉터>의 마지막때문에 그 마지막에서 이 작품이 시작되는 것은 아닐까 나름대로 상상했었더랬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시리즈랄까. 하지만 작가가 이 작품의 갑자기 독자 앞에 꽝하고 터트린 건 거의 마술을 보는 기분이었다. 모자속에서 토끼가 나올 줄 기대했다가 마술사가 모자속으로 사라졌을때의 놀라움이랄까... 보시라. 보지 않으면 맛 볼 수 없는 것... 늘 말하지만 百言이不如一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