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의 심장부에서>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나라의 심장부에서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그가 썼으므로 내가 읽기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그조차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시대를 앞서 고민하는 이가 문학인이라 했었나. 그들이 맨처음 어떤 방식으로 사유하고 어떻게 생각을 만들어내고 무엇으로 쓰기 시작하는지 알려주지 않았기에 나는 알지 못했다. 나는 종종 언문일치의 벽을 깨부수고 나온 문학을 만날 때에만 세상이 만들어낸 뻔한 거짓말을 알아채곤 했다. 그때부터였을까, [앞선 고민이 문학이라면, 문학이 세상을 지배할 수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 좀 더 뒤엔 알 수 없는 감정이 찾아왔다. 의식의 제일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쓰라던 어느 작가의 말처럼 그러고 싶어지는 것이다. 그때만 해도 몰랐다. 흘러내린 절망을 추어올리면 그게 희망일 수도 있단 사실을.
어릴 때부터 유난히 공상이 많은 아이였다. 꼬맹이때부터 말하고 느껴온 것들을 글로 썼다면 수만장은 됐을 것이고, 알맹이가 훌륭했다면 사유의 세계라 불러도 썩 괜찮았을 것이다. 누군가에겐 지루하게 읽히고 내겐 더없이 훌륭한 의식소설로 읽혔지만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라는 수식을 빼고도 쿳시는 충분히 난해한 사람임이 틀림없다. 그의 출생과 시대가 말해주고, 나열하기에도 벅찬 작품들이 또 한 번 증명한다. 인기스타가 나오는 일본 드라마에 몇 시간 올인하다가 축구 한일전이 열릴 때면 [절대 이겨야 한다]를 부르짖는 이중성을 좀 더 고민해서 쿳시처럼 문학으로 표출시킬 수만 있다면 나도 훌륭한 작가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는 달콤한 생각이 따랐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한계를 한계라고 인식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존재하는 것일 뿐, 세상에 무한정이란 건 절대적으로 없는 영역인지도 모른다(여기서 '무한정'이란 <노팅힐>의 줄리아 로버츠 대사에서 따온 'indefinitely'가 아니다). <나라의 심장부에서>는 비교적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전달하는 주제가 명확하다. 전달하는 방식이나 문체가 난해한 것과는 별개의 문제로 읽혀야 한다. 무척 매력적이고 아름답다. 아프리카의 황량한 사막에 핀 한 송이의 장미를 상상하며 읽었다. 오히려 척박한 땅의 질척함과 절망, 고독과 스산함 또 두려움이 제 존재를 더욱 또렷이 드러낸다. 등장인물은 몇 없다. 사유의 주인공 마그다와 그녀의 아버지와 아버지의 여자, 아버지 농장에서 일하는 하인 헨드릭과 그의 아내 안나가 벌이는 조용한 향연이다. 그런데 그조차도 어렵다. 마그다의 의식인지 실제인지 분간해가며 읽는 노력을 중간에 그만뒀을 정도다(어차피 알 수도 없었겠지만).
마그다의 독백은 존재의 정체성을 찾아 끊임없이 유영한다.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을 닮아있는 마그다와 헨드릭의 관계에서 언뜻 오리엔탈리즘을 대입해 읽고 분석 보고서를 썼던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를 떠올렸다. 메마른 식민의 땅이긴 해도 백인여자이자 농장주의 딸로 살아가는 일이 기댈 곳 없는 흑인남자 헨드릭보다 고통스럽진 않았을 테지만 그래도 여자이기에 식민의 삶이 고달프다 말한다. 그녀는 억울한 것이다. 부당을 잘못됐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것보다야 낫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의식이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지의 진수를 보여주는 문장을 곱씹는 일은 녹록지 않다. 뱉어냈다가 담고, 다시 밀어내고 또 주워담는 일련의 호흡은 쿳시의 문장이 아니라 마그다의 호흡이다. 의식은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도처럼 넘나드는 사유 속에서 그녀는 못 가는 곳이 없고, 안 가는 길이 없다. 욕망을 드러내는 일은 자기가 가진 모든 것을 던져버리고 고통의 밑바닥으로 침잠하는 일이란 걸 그녀에게서 배운다. 남자가 이런 감성, 대체 어디서 배웠을까?
 |
|
|
|
167. (중략) 그는 내가 혼자 침대에서 뭘 하는지 얘기한다. 내가 밤에 집 안을 돌아다닌다고 그녀에게 얘기한다. 그는 내가 무슨 꿈을 꾸는지 얘기한다. 내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얘기한다. 나를 여자로 만들어주고 감싸줄 남자가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내가 나이를 먹었어도 어린애라고, 늙은 어린애라고, 곰팡내 나는 체액으로 가득한 사악한 늙은 어린애라고 얘기한다. 그는 누군가가 나를 여자로 만들어줘야 한다고, 누군가가 내 몸에 구멍을 내서 낡은 체액을 빼줘야 한다고 얘기한다. 그는 그녀에게 묻는다. 그 일을 해줄 사람이, 밤중에 창문으로 기어올라 그녀 옆에 누워 그녀를 여자로 만들어주고 새벽녘에 빠져나올 사람이 나여야 할까? 당신 생각에는 내가 그렇게 하도록 그녀가 내버려둘 것 같아? 그냥 꿈인 척하고 내버려둘까? 아니면 완력을 써야 할까? 내가 그녀의 앙상은 무릎을 벌릴 수 있을까? 그녀는 허둥대면서 소리를 지를까? 내가 그녀의 입을 닥치게 해야 할까? 그녀는 끝까지 가죽처럼 단단하고 마르고 질길까? 내가 그 건조한 구멍으로 강제로 들어가면 결국 바이스 같은 뼈에 으깨져 흐물흐물해질까? 혹은 결국 그녀도 여자가 부드럽듯이, 당신이 부드럽듯이 여기가 부드러울까? 안나는 어둠 속에서 숨을 헐떡이며 남자한테 달라붙는다. (pp.165~166)
|
|
|
|
 |

p.s. 그때 생각이 났다. 아주 추운 겨울 비엔나에 있었다. 해가 빨리 떨어지는 우기여서 어둠이 찾아오기 전에 가려고 발을 동동 굴렀다. 어쩌면 시내마다 연결된 트램을 타고 돌아다니느라 좀 여유로웠는지도 모르겠다. 벨베데레 궁전에 들어갔다. 클림트를 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클림트 옆의 쉴레 그림 앞에서 나는 오래도록 발걸음을 멈췄다. 그때 나는 이상한 나라로 빨려들어가는 중의 앨리스 같았을 거라고 훗날 생각했다. 책을 덮고난 느낌이 딱 그때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