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론리하트(Miss Lonelyhearts & The Day of the Locust,1933)
너새네이얼 웨스트 Nathanael West(1903-1940, 미국 뉴욕)
이종인 역
마음산책
구입 : 2003.11.23, 교보문고

  


 

 

 

나타나엘, 너새네이얼, 너대니얼.
아이구. 니 맘대로 읽으세요.
외국 이름 중에서 읽기 참 거시기한 이름 중에 하나다.

2003년 11월 23일.
저 날짜는 좀처럼 잊혀지지 않는다.
이젠 아무런 의미도 남아있지 않은데 말이다.
요즘 헛것을 자주 본다.
그야말로 내 눈을 내가 의심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한 번이면 모르겠는데, 벌써 두 번째다.
혹자는 내게 아직도 상처가 남아서라고 한다.
그치만 평소에 전혀 생각지 않는데 자꾸 뇌신호가 시각을 교란시키는지 난 참 알 수가 없다고 중얼댄다.
상처 같은 건 남아있지 않다고, 그러고 싶지도 않다고 생각하는데 아닌걸까?
또한 요즘 외.로.움.이라는 세글자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이게 외로움인가? 아닌가? 맞나?
오... 그런데 싫지가 않다.
뭔가 내 이해의 폭이 더 넓어진 것만 같아서.
2003년 11월 23일에 사놓고 그즈음 읽었을 때 돈아깝다고 생각했던 이 책이 이제는 왠지 좀 이해가 될 것만 같아서.

외로움보다는 고독함이 좀 더 좋을 것 같다.
외로움은 스스로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고독함은 그렇지는 않다.
외로움은 즐길 수 없지만, 고독함은 그럴 수 있다.
그치만 아직 '고독'을 말할 수 있는 때는 아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2005)
진중권(1963-, 한국 서울)
휴머니스트
2005.7.3.
 
 
 

 
 
 
 
 
 
 
 
어떤 리뷰어는 이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바보라고 할 정도로 과찬을 했다. 원래 진중권씨의 책을 좋아하고 (그 심오한 '죽음의 무도'를 내게 처음으로 알려준 인물이니...) 아주 즐거운 마음으로 읽는 독자의 한 사람이라 저러한 견해를 십분 이해한다.
이 책은 흥미로운 내용의 측면에 있어서는 물론 그러하거니와 책 그자체로도 매우 재밌는 장난감이 된다. 항상 바른 자세로 책상 위에서 혹은, 지하철 안 무릎 위에 놓고 읽어야 하는 진지한 매체가 아니다. 책에 실려있는 다채로운 도판들은 우리의 시각을 다각도로 움직이게 만든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과 그림의 의미들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책을 비스듬히 세우거나, 거꾸로 뒤집거나 때로는 도판을 째려보기까지 해야한다.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천만의 말씀.
진중권씨는 절대로 책을 어렵게 쓰지 않는다. 자신은 진정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면서 그것을 뽐내려하지 않고 우리를 쉽게 미학의 길로 안내한다. 따라서 저자의 지시에 따라 바쁘게 손을 움직이다보면 마치 물리학의 원리를 알아내듯 아하! 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책 속에 소개된 또다른 책들
조나단 스위프트, 걸리버 여행기(서울대 출판부)
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북폴리오, 주석있음, 혹은 시공 주니어, 거울나라의 앨리스와 분판되어있음.)
슈테판 츠바이크, 체스(범우사)
타키투스, 게르마니아(서울대 출판부)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서광사)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가톨릭 출판사에서 나온 요약본이 있음)
에라스무스, 광우예찬
셰익스피어, 리어왕
쥘 베른, 달나라 탐험(김석희 역, 열림원)
허먼 맬빌, 모비 딕
실비아 네이사, 뷰티플 마인드 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시드로 파로디의 여섯가지 사건(Seis problemos para don Isidro Parodie, 1942)
호르헤 L. 보르헤스 Jorge Luis Borges(1899-1986, 아르헨티나)
아돌포 B. 카사레스 Adolfo Bioy Casares(1914-1999, 아르헨티나) 
권영주 역
북하우스
2006.3.9, 알라딘


 

 

 

 

어쩌면 제목이 이다지도 매혹적일 수 있나. 정말 제목만 보고 확 사버렸다.
여러 책을 한꺼번에 읽으면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은유'에 관한 이야기를 한 것이 이 책인지 <전날의 섬>인지 내용이 마구 섞여들어가기 때문이다.
어떻든. 재미있지만 간과할 수 없는 은유를 담고 있는 이 여섯가지 사건들은 도무지 한 번 읽어서는 이시드로 파로디처럼 사건의 경위를 추리해 낼 수 없다는 것이 나를 난감하게 만들면서 한편으로는 도전의 욕구를 자극한다.
저 파로디 Parodie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다, 물론.
이시드로 파로디는 자신의 감방으로 와서 사건 해결을 부탁하는 사람들로부터 거의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듣는다'.
사건 현장으로 가서 정밀수사를 할 수 없음에도, 이시드로 파로디는 그 특유의 기지를 발휘하여 자신이 들은 이야기로부터 사건의 경위를 논리적으로 밝혀낸다.
그에게 사건 해결을 부탁하려 오는 다양한 인물들은 객관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나르시시즘에 빠진 인물들이지만, 파로디는 그러한 장막을 모조리 걷어내고 사건을 핵심을 파악한다.
라틴문학 작가들은 특히나 아우라가 무척 강한 것 같다.
개별적으로는 독특하면서도 그 지역 작가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묘한 분위기가 있다.
외국인들이 우리의 문학에 대하여 느끼는 정서는 어떤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날의 섬(L'isola del giorno prima, 1994)
움베르토 에코 Umberto Eco(1932- ,이탈리아 알렉산드리아)
열린책들

 



 

 

 



몬페라또 사건의 전말 - 과거의 이야기

1627년 12월 만뚜아 공작 빈센쪼 2세가 죽으면서 승계자를 놓고 네 명의 후보가 등장. 그 중에서 생 샤르몽 남작은 만뚜아 공작의 유산이 프랑스계 네베르 공작인 샤를르 드 곤짜가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 빈센쪼 2세는 네베르 공작을 자신의 질녀인 마리아 드 곤짜가와 결혼시키고 죽음.

만뚜아의 몬페라또는 수도가 까살레로, 북이탈리아의 요충지이며, 스페인령 밀라노와 사보이아에 위치함으로써 프랑스와 스페인의 완충지였다. 그런데 몬페라또가 네베르의 손에 넘어간다는 것은 프랑스의 리슐리외 추기경에게 실권이 넘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스페인은 신성 로마제국의 군대와 힘을 합쳐 까살레를 공략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 땅을 둘러싸고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의 이권다툼이 벌어진다. 

몬페라또 후작의 가신인 포쪼 디 산 파뜨리찌오는 프랑스계인 네베르 공작을 인정하지는 않지만 몬페라또를 제국의 손에 넘길 수 없었기 때문에 까살레를 지키기 위해 현재 그곳에 주둔하고 있는 프랑스군을 돕는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로베르또 델라 그리봐는 포쪼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까살레 농성전(성문을 굳게 닫고 성을 지킴)에 참여한다. 그는 이 와중에 생 사벵이라는, 이단 사상을 스스럼없이 설파하는 자를 만나게 되고, 아버지가 죽은 후 고해성사를 하기 위해 파드레 에마누엘레를 만나는데, 그는 '사람들이 <언어>로써 먼 곳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계'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망원경을 발명한다.

 - 현재의 이야기

로베르또는 '아마릴리스호'에서 난파하여 떠돌다가 '다프네'라는 배를 발견하고 오르지만 이 배 역시 또다른 난파한 배에 지나지 않는다. 배 안에서 며칠을 보내면서 로베르또는 다른 누군가가 숨어있다는 흔적을 발견하게 되고, '다프네'의 유일한 생존자인 카스파르 신부를 만나 경선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에코의 『전날의 섬』을 읽다가 불현듯 이 책이 생각나서 같이 읽기 시작했는데, 참으로 신기하게도 두 책에는 공통점이 있다.
먼저 '세계의...'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라는 겉보기에 독립적인 두 가지 이야기를 병행하여 전개시키고 있다면, '전날의 섬' 역시 주인공 로베르또가 '아마릴리스 호'를 타기까지의 과거 이야기와, '다프네 호'에 갇혀 벌어지는 현재의 이야기를 병치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의...'의 '나'는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서 두개골의 소리를 읽는 방법을 연구하는 노박사를 만나고, 세계의 끝에서 두개골로부터 오래된 꿈을 읽게 된다.
한편 '전날의 섬'의 로베르또는 본초자오선과 정대척점에 있는 경도 180도 지점을 찾기 위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넘나들며 사투를 벌인다. 그런데 이 두 소설의 두 주인공은 모두 낮의 빛에 약하다.
오래된 꿈을 읽는 '나'는 해가 지면 도서관으로 가서 두개골의 오래된 꿈을 읽고, 햇빛을 보게 되면 점점 시력을 잃는다. 로베르또 역시 작열하는 낮의 태양을 피해 밤을 도와 다프네 호의 이곳저곳을 탐색한다.

 


자오선[, meridian]

이것은 지평선과 마찬가지로 관측지점에 고정시켜서 생각할 수 있는 기준선이며, 천체()의 방위각()·시각()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자오는 12지()의 자()의 방향 즉 북과, 오()의 방향 즉 남을 연결하는 선이라는 뜻이다.
천체가 일주운동()을 하며 자오선을 통과할 때 '자오선 통과'라 하고, 이때 천체의 방위각은 진남() 또는 진북이며, 고도는 극대값에 이른다. 자오선 통과를 '남중()'이라고도 한다. 보통의 출몰성()의 경우에는 하루에 1회, 주극성()은 하늘의 양극의 위와 아래에서 합계 2회의 자오선 통과가 관측된다.
이때는 상방 자오선 통과, 하방 자오선 통과라고 하여 구별한다. 지구상의 자오선은 하늘의 자오선의 평면이 지구 표면을 자르는 선에 해당한다. 자오선상의 세 점, 즉 어떤 지점과 남북의 두 극점()을 포함하는 평면을 자오면이라 한다.


본초자오선 [, prime meridian]

경도의 기준이 되는, 즉 경도 0˚의 자오선.
런던의 구() 그리니치천문대(현재 케임브리지로
이전)의 자오선을 말한다. 구 그리니치천문대의 자오선은 1884년 국제협정에 의해 지구의 경도의 원점으로 채용되었으며, 또 1935년부터 이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는 그리니치시()가 세계시로서 국제적 시간계산에 쓰이게 되었다.


경도 [, longitude]

지구상의 한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과 런던의 그리니치천문대를 지나는 본초자오선()의 각도를 그 지점의 경도라 한다. 본초자오선을 중심으로 동서로 나누어, 각각 동경 180°, 서경 180°로 한다.
지구는 24시간에 대체로 360° 회전하므로, 그 회전각도와 경과시간은 비례한다. 그래서 경도는 각도 대신 시간으로 표시하는 일이 있다. 경도 15°는 1시간, 15'은 1분, 15"는 1초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떤 지점의 지방시()와 그리니치시()의 시차로 그 지점의 경도를 알 수 있다. 배 위에서는 크로노미터를 그리니치시에 맞추고, 천문관측으로 측정한 지방시와 비교해서 임의 지점의 경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밖에 지표에서는 삼각측량으로 거리와 방향을 측정해서 경도를 구하는 측지학적 방법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테의 모자이크 살인사건(Delitti Del Mosaico, 2004)
줄리오 레오니 Giulio Leoni(이탈리아 로마)
이현경 역
황매(푸른바람)
2005.5.15, 알라딘

 

 

 

 

 


<이탈리아어판>

프롤로그
아코, 1291년, 이슬람에게 탈환당한 이스라엘의 성지.
이로써 십자군 운동에 종지부를 찍게 됨.
전쟁의 와중에 성당 기사단에 진실이 담긴 상자가 아코에서 빠져나감.

당시 유럽은 교황인 보니파키우스 8세(카에타니)를 지지하는 겔프당과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를 지지하는 기벨리니당으로 나뉘었는데, 기벨리니당은 다시 흑당과 백당으로 나뉘었고 단테는 백당에 속했다. (발자크의 단편 『추방된 사람들 Les Proscrits』은 이러한 당파싸움의 와중에 단테가 프랑스에 체류했던 에피소드를 그리고 있다, 발자크, 『사라진느 外』, 이철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0년 참고.)

피렌체 코무네의 행정위원인 단테는 산 귀다 성당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을 보고받는다. 산 귀다 성당은 피렌체를 자신의 이론적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보니파키우스 교황의 후원을 얻어 곧 스투디움 플로렌티눔으로 거듭나게 될 장소였다. 그런데 그곳의 모자이크 장식을 맡은 코모의 조각,건축 조합의 마에스트로 암브로지오가 매우 상징적인 모자이크 작업을 하다가 살해당한다.

모자이크에는 거대한 노인이 형상화되고 있었는데, 노인의 머리는 금, 팔과 가슴은 은, 배는 동, 다리는 황토(테라코타)로 되어 있고, 그는 막 걸음을 떼려는 듯 오른쪽 다리를 구부리고 있다. 단테는 이 모습이 신바빌로니아의 명군인 네부카드네자르(느브갓네살)라는 이교도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네부카드네자르는 유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바빌론 유수'를 단행한 장본인이다. 그런데 그가 향하고 있는 오른쪽 도시는 로마의 카스텔 산탄첼로('천사의 성')이고, 왼쪽의 작은 도시에는 성벽 중앙에 거대한 문이 있고 그 주변에 네 마리의 사자가 묘사되어 있다. 이 도시는 이집트의 다미에타라는 도시로, 탐욕스런 성당 기사단 때문에 다른 기사단들이 몰살당하고, 결국은 십자군이 패배하여 성지를 빼앗긴 곳이었다.

그런데 원래 산 귀다 성당의 모자이크에는 성서 속의 '생명의 나무'가 그려질 예정이었으나 암브로지오는 어떤 비밀을 알게 되면서 그것을 암시하기 위해 모자이크의 주제를 바꾼다. 아마도 그는 모자이크를 통해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다섯 명의 모자이크 기술자를 암시한 것 같다. 거인 노인은 가치가 서로 다른 재료로 다섯 부분을 표현함으로써 서열이 다른 기술자를 암시했을 수도 있다.

혹은 왼쪽에 그려진 다미에타로 미루어서는 십자군 패배의 다섯 주역인 프랑스인, 롬바르디아인, 독일인, 제노바인 그리고 성당 기다사단을 고발하려는 것일 수도 있다.
소설에서는 계속해서 5의 상징이 나오는데, 스투디움 플로렌티눔은 바로 이탈리아의 다섯 번째 스투디움이다.

그리고 그 주변에는 죽은자가 남긴 것 같은 III COE라는 글자와 오각형의 별이 그려져 있다.
모자이크와 시신 주변에 성당기사단의 붉은 십자가가 새겨진 단검이 떨어져 있다.
'셋째 하늘' : 점성술에서는 아홉 개의 하늘이 있다고 말한다.
월천(月天), 수성천, 금성천, 태양천, 화성천, 목성천, 토성천, 항성천, 원동천이 그것이다. '세째 하늘'은 금성(비너스, 베누스의 상징)천이고, 새벽에 가장 밝게 빛나는 이 별은 오각형으로 그려지며 여신숭배사상을 상징한다. 셋째 하늘은 라틴어로 III COELUM.
'셋째 하늘'은 스투디움 플로렌티눔을 만들려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단테는 이 모임의 구성원들의 얼굴에서 동물의 모습을 본다.

1. 테오필로 스프로비에리 : 고양이, 아코 출신의 의사, 약재상.
2. 아우구스티노 디 메니코 : 개, 법학자.
3. 안토니오 다 페레톨라 : 여우, 법학자, 교황청 공문서보관국 국장. 산 파올로 푸오리 레무라 성당에 위치한 법률위원회 소속. 이 위원회는 보니파키우스 교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기관. 그는 영적 권력(보니파키우스)이 세속 권력(신성로마제국 황제)에 앞선다는 이론을 주장하려고 함.
4. 브루노 암만티 : 원숭이, 프란체스코수도회 신학자.
5. 야코포 토리티 : 말, 건축가.
6. 베니에로 마린 : 사자, 베네치아의 해군 제독.
7. 체코 다스콜리 : 독수리, 점성술.
8. 체코 안지올리에리 : 바실리스크, 희극시의 대가, 시에나 출신

* 안틸리아 : 베누스 여신의 전령. 아코에서 탈출한 피난민.

이들은 모두 로마에서 옴. 보니파키우스는 로마가 자신에게 반발하고 자유 코무네를 선언하자 피렌체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 이렇게 방위권을 넘겨받은 교황은 이러한 방식으로 피렌체를 손에 넣으려 함.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5-23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다가 끝부분 아주 조금 남았는데 앞집 중학생이 빌려갔어요. 그 아인 살인이라는 말에 현혹되는 눈치...

물만두 2006-05-23 1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인에 현혹되면 안되는데요...

부엉이 2006-05-23 1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마 그 책 읽고 실행이 옮기고픈 생각이 들진 않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