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은 젊어?

아니요, 나이들었어요.

몇 살인데?

마흔여덟.

젊네.

 

사십대 초반의 s언니의 '젊다'는 표현에 솔직히 조금 당황했다. 아직 그 영역에 들어가지 않은 나로서는 마흔여덟이라는 나이를 젊다고 표현할 생각은 못해봤는데. 아마도 내가 언니의 나이가 되어 바라보는 마흔여덟은 더이상 늙음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고 보면 그 나이가 되기 전에는 미처 알지 못하고 지각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정작 마음을 빼앗긴 소설은 대상 수상작 대신 말미에 실린 이장욱의 <크리스마스캐럴>. 외견상으로 성공한 중년의 사내를 어느 날 찾아온 어린 아내의 전남자친구. 그와 함께 앉아 의미 없는 얘기들을 나누는 순간 주점에 우연히 들어온 노인. 그 날은 하필 크리스마스이브, 게다가 하얀 눈발까지 흩날렸다. 셋 사이에 의미심장한 대화가 오고가는 것도 아니다. 그저 껌을 팔러 온 듯한 초라한 행색의 할아버지와 사랑 운운하는 서투른 애송이와 알 것 다 알고 체념할 것도 다 수긍하는 중년의 사내가 어떤 '순간' 우연히 함께 하는 정경을 그렸을 뿐이다. 그리고 아무도 그를 붙잡지 않고 그는 술에 취해 추적추적 자신의 번듯한 집으로 돌아와 어린 아내 곁으로 간다. 그런데 그 아름답고 젊은 부인의 얼굴은 그 새 노파로 변해 있다.  청년, 노인은 모두 '나'의 모습이 단지 시공간의 흐름 속에 투영되어 나타난 모습일런 지도 모른다. '나'는 꿈을 꾸었을 수도 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하필 주인공이 다녔던 대학교 앞의 허름했던 주점 안에서 조우한 '젊음'과 '늙음'이 응시하는 '현재'가 바로 나다. 내가 진짜라고 여기며 향유했던 것의 추악한 실재를 목도하며 <크리스마스캐럴>이 울려 퍼진다.

 

조경란의 <기도에 가까운>에도 전성태의 <소풍>에도 이러한 '늙음'이 있다. 작가들의 연배는 대체로 중년이다. 우리가 더이상 젊지 않다는 기준이 되기도 하는 삼십대 중반을 넘어서면 어느덧 파도처럼 다가오는 '늙음'과 '죽음'을 원하든 원치 않든 응시하게 되는 순간이 많아진다. 그러니 많은 작가들이 이에 천착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런 지도 모른다. 과거는 나의 소년, 소녀 시절로 대치될 수 있지만 나의 '늙음'은 대부분 나를 둘러싼 사람들의 모습으로 대치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의 마르셀도 소년 시절 회고의 시점을 취하고 있지만 그에게 홍차에 마들렌을 적셔 주던 레오니 아주머니의 늙은 모습에서 그것을 찾는다. 나는 이미 늙어버렸는데도 나의 늙음은 외부에 있다는 이 모순의 중심에는 어쩌면 '늙음' 그 자체를 직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늙음'은 이렇게 끊임없이 타자화된다.

 

과연 정말 그렇기만 한 걸까? 이제 우체국의 아리따운 아가씨를 몰래 훔쳐본다고 아내에게 아무렇지도 않게 말할 수 있는 여든두 살의 커트 보니것에게 물어보고 싶다. 아쉬운 점은 이미 이 유쾌한 독설가 할아버지는 이 지구상에 없다.

 

 

 

 

 

 

 

 

 

 

 

 

 

 

 

이 노작가는 더 이상 눈치를 보지 않고 기득권과 정부를 욕할 수 있다. 솔직하게 조소할 것들이 널려 있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더없이 냉소적이지만 왠지 따뜻하다. 분명 다 욕인데 불쾌하지 않다. 그것은 분명 그가 제대로 늙는다는 것이 뭔지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자신이 떠나고 남을 지구를 제발 지켜달라고 보호해달라고 진심어린 호소를 어떻게 하면 가장 호소력 있게 할 수 있는지 그는 알 만큼 늙었다. <크리스마스캐럴>에서 사내가 목도한 끔찍하고 초라한 늙음은 그 앞에서 뻥 하고 지구 밖으로 꺼져 버린다. 그 사내처럼, 보이는 것들과 가질 수 있는 것들에만 끄달리다 이내 손안에 남는 그 '늙음'에의 경고의 또다른 방식을 커트 보니것은 알고 있다.

 

댈러웨이 부인은 아직 많이 늙지는 않았다고 느낀 쉰둘의 나이. "이 아침 속에, 모든 지난 아침들의 무게가 실려 있었다."고 이야기한 그 반세기의 시간을 지날 쯔음을 기대해 본다. 그때의 삶의 풍경은 또다른 깊이와 넓이로 다가오기를...마흔여덟은 젊은 나이가 맞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5-01-29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장욱 어떤 소설도 다시 찾아간 대학 호프집이었는데, 뭔가 이장욱 소설은 거기가 타임리프 지점인 듯....
이장욱, 보네거트 ...소설이 자칫하면 후일담 소설이 되기 쉬운데 그 SF 장치들을 정말 잘 쓴다는 공통점도^^

blanca 2015-01-29 17:20   좋아요 0 | URL
아. 그런 공통점이 있군요! 저는 이장욱이라는 소설가는 아직 잘 몰라서 신선하게 느꼈는데 대학교 앞 주점이 단골이군요 ^^;;

stella.K 2015-01-29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그 나이를 아직 지나오지 않으면 늙은 거고
그 나이를 지났으면 젊은 거고 그런 거 아닐까요?
전 50대까지는 그래도 아직은 젊다고 봐야할 것 같아요.
옛날의 50대랑 요즘의 50대랑은 다르거든요.
곧 50을 바라보는 연예인 보면 그런 생각이 들죠.
그리고 평균 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4, 50대는 젊다고 봐야죠.
적어도 아직 늙지는 않았다. 정도.
옛날 저 10대 때는 25이 넘으면 어떻게 사나 막 그랬어요.ㅋㅋㅋ

blanca 2015-01-29 17:22   좋아요 0 | URL
맞아요. 스무 살엔 서른이 과연 올까, 했는데 벌써 마흔이 저기니까요. 그러고 보니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네요. ㅋ

Jeanne_Hebuterne 2015-01-29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들 부시와 아버지 부시, 사라 페일린 반대편 시소에 커트 보네거트와 데이비드 시다리스, 필립 로스가 있어서 미국이라는 나라가 용케 균형을 유지한다는 생각을 했어요.

blanca 2015-01-29 17:24   좋아요 0 | URL
쟌느님. 저는 이렇게 노골적으로 비판을 할 수 있는 그 분위기도 미국의 근저에 있는 힘이 아닐까 싶더라고요. 하지만 요즘의 미국은 무언가 온건주의를 표방하고 있긴 하지만 과연 다른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긴 해요.

순오기 2015-01-29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젊고 늙음은 주관적 기준일 거 같아요. 쉰 중반이 넘어서 바라보니 숫자로 젊고 늙음을 나눌 수 없다는 개념정리에 손들어주고 싶더라는...^^

blanca 2015-01-29 17:25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은 충분히 젊으세요. 저보다요. 나이만으로 재단할 수 없는 점이 분명 있어요.

마태우스 2015-01-29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은 참 자기중심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제가 박지훈한테 이런 말을 해요. ˝마흔, 젊네. 내가 너 정도 나이면 정말 다 때려치우고 방송에 올인하는데, 내 나이엔 해봤자 얼마나 하겠냐. 그래서 관두는 거야.˝ 근데 제가 박지훈의 나이인 마흔살 땐 어땠냐면, 스스로 늙었다고 생각했던 거죠. 마흔여덟이 젊을 때가 저한테도 오겠죠ㅠㅠ

마태우스 2015-01-29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델라웨이 부인, 언젠가 흥국생명 아래서 영화로 봤어요. 보고나서 그거 보자고 한 여자분한테 무지 뭐라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blanca 2015-01-29 17:26   좋아요 0 | URL
영화로도 나왔군요. 뭐라 하실 만하네요.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을 영화화하기에는 너무 모호하고 난해한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세실 2015-01-31 1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습관적으로 구입만 해놓았어요.
나이는 주관적이죠.
저를 시점으로 젊다, 늙었다.ㅎ
나이를 의식하는, 이제 중심이 아니라는 생각은 확실히 합니다.

blanca 2015-02-01 11:57   좋아요 0 | URL
맞아요, 세실님. 정말 주관적이 되는 게 대학생 때는 복학생들이 그렇게 늙어보였는데 저번에 동기 결혼식 갔을 때 복학생들을 보고 다들 아기라고 부르더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