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사 이야기 1>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 카이스트 신동원 교수님이 들려주는 하늘과 땅의 과학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신동원 지음, 임익종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재미있는 과학사 이야기를 읽었다. 역사책을 통해 한국의 과학을 살펴보거나, 인물을 통해 접한 적은 있지만,

그때마다 단편적인 지식을 얻었다면, 이 책은 한국의 과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었다.

 

길잡이글에서 저자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으로 나누지 않고, 하늘, 땅, 생물, 몸의 과학을 나누었는데, 왜 이렇게 나누었는지를 이해하려면 우선 오늘날의 과학과 옛 과학이 서로 같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한다고 말하며 "동양에서는 자연에 대한 학문을 격물학(格物學), 이학(理學) 또는 물리(物理)라고 해서 모두 '사물의 이치를 캔다'는 뜻"이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관점은 현재의 과학의 눈으로 보았을 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이해하게 하고, 서양과 동양의 과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앎으로써 언제, 어디의 과학이 우수하다 아니다를 말하는 것이 얼마나 섯부른 판단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또한 "'기술;이 과학'과 비슷한 모습을 띠기도 하지만, 기술은 과학과 별로 상관없이 발달했어. 기술은 자연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사람이 생활하고 생존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하여 기술의 발달을 과학의 발달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우리에게 다른 깨달음을 준다.

 

더불어 이 책은 오늘날의 잣대로 옛 과학을 바라보지 말 것과 비약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과학을 다룬 책을 보면 세계 최초, 세계 최고라는 찬사를 붙이기를 좋아하는데 그것이 아니어도 옛 과학은 충분히 우리가 알아야 하고 참고해야 할 것임을 알게 해 준다.

 

1권인 이 책에서는 1부 하늘과 2부 땅으로 나누어진다.

 

옛 사람들은 오늘날 천문학보다 관심 영역이 훨씬 넓었다(p.13)고 한다. 이러한 관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옛 과학을 오늘날의 잣대로 평가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천문학을 살펴보는 과정으로 제일 먼저 고인돌에 새겨진 별을 이야기한다. 내가 어렸을 때 학교에서 배운 내용에는 고인돌에 새겨진 별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선사시대의 하늘은 이어 무덤 속의 벽화에 그려진 별자리로 이어진다.

 

요즘도 혜성의 폭발이나 별똥비가 내리는 날은 사람들의 관심이 하늘로 모아진다. 옛날에는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했을까? 우리나라에서는 기우너전 1세기 무렵에 이미 별똥비 기록이 등장한다고 한다. 신성의 폭발장면도 있고 흑점에 대한 기록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렇게 열심히 하늘을 관찰하고 기록한 것이 하늘의 재앙을 읽어내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대동여지도를 그린 김정호가 천문지도를 그렸다거나, 조선시대에 만든 여러 해시계와 측우기, 자격루, 동서양의 과학이 만나 만들어진 혼천시계, 칠정산과 같은 달력, 그리고 음악과 도량형, 수학 등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보면 옛 사람들이 하늘을 어떻게 관찰하고 생활에 응용했는지를 알 수 있다.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즐거움도 있다.

 

지금도 풍수지리는 여러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불어 지도 제작에 대한 이야기들은 여러가지 호기심을 충족시켜준다.

 

어려운 과학을 쉽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과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한국의 과학을 다룬 책들이 어린이의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되다보니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빼놓고 최초와 최고라는 찬사로만 채우지거나, 인물 중심으로 인생역정을 보여주는데 치중하다보면 뭔가 허전한 기분을 느끼기 마련인데, 이 책은 그러한 점을 잘 충족시키고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것이 무조건 좋고 옳다가 아니라 균형잡힌 시각으로 과학사를 훑어볼 수 잇도록 도와준다. 세계 최고거나 최초가 아니여도, 발달된 문물과 과학지식은 받아들이고 우리 땅과 실정에 맞는 과학으로 발전시켜 옴으로써 그것이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과학이 되었는지를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어른인 나도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우리 조상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어떻게 배우고 익혔으며 실생활에 적용했는지를 잘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